Poohsi

人生没有早知道 본문

어학

人生没有早知道

Poohsi&Company 2025. 2. 23. 19:26

 

「人生沒有早知道」

有時候,我們都會被一句話困住。

最近,我在便利商店結帳時,聽到店員對前面那位阿姨說:「不好意思,我們現在不能用這個折扣。」

阿姨皺起眉頭,小聲地嘀咕:「早知道就不買了。」

那一瞬間,我忽然想到,人生是不是也常常這樣?

我們總是因為一些「早知道」,卡住了自己。

早知道當初不要選這條路,早知道應該多存點錢,早知道不要那麼在意別人的眼光…… 

但問題是,這個世界上,哪來那麼多「早知道」?

我們之所以會有這些想法,只是因為站在今天的角度,回頭看過去的自己,覺得他太天真、太衝動、太不懂事。

但如果沒有當初那些決定,今天的我們又怎麼會變成現在的樣子?

我有個朋友,前陣子剛換工作,她告訴我:「如果早知道新公司這麼累,我根本不會來。」

但過了一個月,她又說:「雖然很累,但我學到了很多新東西。」

所以也許很多時候,當我們在心裡嘀咕「早知道」時,也許只是還沒走到故事的後半段。

我們會遇到麻煩,會有後悔的時刻,會覺得自己怎麼這麼傻,但這些都是路上的一部分。

與其一直想著「早知道」,不如換個方式問自己:「那現在呢?」

現在,我能怎麼做,讓自己不要再被卡住?

這樣想,也許世界會寬一點,自己也會輕鬆一點。

#vjviola
#vj聊聊

 

 

 

1. 标题 

人生没有早知道
Rénshēng méiyǒu zǎo zhīdào
인생에는 "미리 알았더라면"이 없다


2. 正文 

有时候,我们都会被一句话困住。
Yǒu shíhòu, wǒmen dōu huì bèi yījù huà kùn zhù.
때때로 우리는 한마디 말에 갇히곤 한다.

最近,我在便利商店结账时,听到店员对前面那位阿姨说:「不好意思,我们现在不能用这个折扣。」
Zuìjìn, wǒ zài biànlì shāngdiàn jiézhàng shí, tīng dào diànyuán duì qiánmiàn nà wèi āyí shuō: "Bù hǎoyìsi, wǒmen xiànzài bùnéng yòng zhège zhékòu."
최근 편의점에서 계산을 할 때, 점원이 앞에 있던 아주머니에게 이렇게 말했다.
"죄송합니다. 지금은 이 할인 적용이 어렵습니다."

阿姨皱起眉头,小声地嘀咕:「早知道就不买了。」
Āyí zhòuqǐ méitóu, xiǎoshēng de dígū: "Zǎo zhīdào jiù bù mǎi le."
아주머니는 눈썹을 찌푸리며 조용히 중얼거렸다.
"미리 알았더라면 안 샀을 텐데."

那一瞬间,我忽然想到,人生是不是也常常这样?
Nà yī shùnjiān, wǒ hūrán xiǎngdào, rénshēng shì bù shì yě chángcháng zhèyàng?
그 순간,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인생도 이런 경우가 많지 않을까?"

我们总是因为一些「早知道」,卡住了自己。
Wǒmen zǒng shì yīnwèi yīxiē "zǎo zhīdào", kǎ zhù le zìjǐ.
우리는 언제나 "미리 알았더라면"이라는 생각 때문에 스스로를 가둔다.

早知道当初不要选这条路,早知道应该多存点钱,早知道不要那么在意别人的眼光……
Zǎo zhīdào dāngchū bùyào xuǎn zhè tiáo lù, zǎo zhīdào yīnggāi duō cún diǎn qián, zǎo zhīdào bùyào nàme zàiyì biérén de yǎnguāng……
"그때 이 길을 선택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미리 알았더라면 돈을 더 모아둘 걸."
"다른 사람의 시선을 그렇게 신경 쓰지 말았어야 했는데……"

但问题是,这个世界上,哪来那么多「早知道」?
Dàn wèntí shì, zhège shìjiè shàng, nǎ lái nàme duō "zǎo zhīdào"?
하지만 문제는, 이 세상에 그렇게 많은 "미리 알았더라면"이 있을까?

我们之所以会有这些想法,只是因为站在今天的角度,回头看过去的自己,觉得他太天真、太冲动、太不懂事。
Wǒmen zhī suǒyǐ huì yǒu zhèxiē xiǎngfǎ, zhǐshì yīnwèi zhàn zài jīntiān de jiǎodù, huítóu kàn guòqù de zìjǐ, juédé tā tài tiānzhēn, tài chōngdòng, tài bù dǒngshì.
우리가 이런 생각을 하는 이유는, 오늘의 관점에서 과거의 자신을 돌아보며
"그때의 나는 너무 순진했고, 충동적이었으며, 철이 없었다."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但如果没有当初那些决定,今天的我们又怎么会变成现在的样子?
Dàn rúguǒ méiyǒu dāngchū nàxiē juédìng, jīntiān de wǒmen yòu zěnme huì biànchéng xiànzài de yàngzi?
하지만 그때의 선택이 없었다면, 지금의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모습이 되었을까?

我有个朋友,前阵子刚换工作,她告诉我:「如果早知道新公司这么累,我根本不会来。」
Wǒ yǒu gè péngyǒu, qián zhènzi gāng huàn gōngzuò, tā gàosù wǒ: "Rúguǒ zǎo zhīdào xīn gōngsī zhème lèi, wǒ gēnběn bù huì lái."
내 친구가 얼마 전에 새 직장으로 이직했다. 그녀는 내게 이렇게 말했다.
"미리 알았더라면 이 회사에 오지 않았을 거야."

但过了一个月,她又说:「虽然很累,但我学到了很多新东西。」
Dàn guò le yī gè yuè, tā yòu shuō: "Suīrán hěn lèi, dàn wǒ xué dào le hěn duō xīn dōngxi."
그런데 한 달이 지나자 그녀는 다시 말했다.
"힘들긴 하지만, 새로운 것을 많이 배웠어."

所以也许很多时候,当我们在心里嘀咕「早知道」时,也许只是还没走到故事的后半段。
Suǒyǐ yěxǔ hěn duō shíhòu, dāng wǒmen zài xīnlǐ dígū "zǎo zhīdào" shí, yěxǔ zhǐshì hái méi zǒu dào gùshì de hòubànduàn.
그러므로 우리가 "미리 알았더라면" 하고 중얼거릴 때, 사실은 아직 이야기의 후반부에 도달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我们会遇到麻烦,会有后悔的时刻,会觉得自己怎么这么傻,但这些都是路上的一部分。
Wǒmen huì yùdào máfan, huì yǒu hòuhuǐ de shíkè, huì juédé zìjǐ zěnme zhème shǎ, dàn zhèxiē dōu shì lù shàng de yībùfèn.
우리는 어려움을 겪고, 후회하는 순간이 오며, 스스로 어리석다고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 역시 길 위의 일부일 뿐이다.

与其一直想着「早知道」,不如换个方式问自己:「那现在呢?」
Yǔqí yīzhí xiǎngzhe "zǎo zhīdào", bùrú huàn gè fāngshì wèn zìjǐ: "Nà xiànzài ne?"
"미리 알았더라면"을 계속 떠올리는 대신, 이렇게 질문을 바꿔보는 것이 더 낫다.
"그럼 지금은?"

现在,我能怎么做,让自己不要再被卡住?
Xiànzài, wǒ néng zěnme zuò, ràng zìjǐ bùyào zài bèi kǎ zhù?
지금 나는 어떻게 해야 다시는 스스로를 가두지 않을 수 있을까?

这样想,也许世界会宽一点,自己也会轻松一点。
Zhèyàng xiǎng, yěxǔ shìjiè huì kuān yīdiǎn, zìjǐ yě huì qīngsōng yīdiǎn.
이렇게 생각하면, 세상이 조금 더 넓어지고, 스스로도 조금 더 편해질 것이다.

 

 

 

 

文章整理

主題:人生沒有早知道

  • 간체:人生没有早知道
  • 병음:Rénshēng méiyǒu zǎo zhīdào
  • 한국어:인생에는 "미리 알았더라면"이란 없다.

문장 요약 및 분석

  1. 我们总是因为一些「早知道」,卡住了自己。
    • 병음: Wǒmen zǒngshì yīnwèi yīxiē "zǎo zhīdào", kǎ zhùle zìjǐ.
    • 한국어: 우리는 종종 "미리 알았더라면"이라는 생각 때문에 스스로를 가둔다.
    • 단어
      • 总是 (zǒngshì): 항상, 늘
      • 因为 (yīnwèi): ~때문에
      • 卡住 (kǎ zhù): 막히다, 걸리다
  2. 但问题是,这个世界上,哪来那么多「早知道」?
    • 병음: Dàn wèntí shì, zhège shìjiè shàng, nǎ lái nàme duō "zǎo zhīdào"?
    • 한국어: 하지만 문제는, 세상에 그렇게 많은 "미리 알았더라면"이 어디 있겠는가?
    • 문형
      • 疑问句 (의문문):
        • 哪来那么多…?(Nǎ lái nàme duō…?) → "그렇게 많은 …이 어디 있겠는가?"
        • 감탄과 반문을 포함한 표현
  3. 如果没有当初那些决定,今天的我们又怎么会变成现在的样子?
    • 병음: Rúguǒ méiyǒu dāngchū nàxiē juédìng, jīntiān de wǒmen yòu zěnme huì biànchéng xiànzài de yàngzi?
    • 한국어: 만약 그때의 결정이 없었다면, 오늘의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모습이 되었을까?
    • 단어
      • 如果 (rúguǒ): 만약
      • 当初 (dāngchū): 당시, 처음
      • 决定 (juédìng): 결정
      • 变成 (biànchéng): ~로 변하다
  4. 所以也许很多时候,当我们在心里嘀咕「早知道」时,也许只是还没走到故事的后半段。
    • 병음: Suǒyǐ yěxǔ hěnduō shíhòu, dāng wǒmen zài xīnlǐ dígū "zǎo zhīdào" shí, yěxǔ zhǐshì hái méi zǒudào gùshì de hòubànduàn.
    • 한국어: 그래서 어쩌면 우리가 "미리 알았더라면"이라고 중얼거릴 때, 아직 이야기의 후반부에 도달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 단어
      • 也许 (yěxǔ): 어쩌면, 아마도
      • 嘀咕 (dígū): 중얼거리다
      • 还没 (hái méi): 아직 ~하지 않았다
  5. 与其一直想着「早知道」,不如换个方式问自己:「那现在呢?」
    • 병음: Yǔqí yīzhí xiǎngzhe "zǎo zhīdào", bùrú huàn ge fāngshì wèn zìjǐ: "Nà xiànzài ne?"
    • 한국어: "미리 알았더라면"을 계속 생각하느니, 차라리 이렇게 물어보자. "그럼 지금은?"
    • 문형
      • 与其……不如…… (Yǔqí…… bùrú……)
        • "…하기보다는 차라리 …하는 것이 낫다"
      • 反问 (반문)
        • 「那现在呢?」(Nà xiànzài ne?) → "그럼 지금은?"
        • 상대방(혹은 자기 자신)에게 되묻는 표현

핵심 표현 정리

 

早知道 zǎo zhīdào 미리 알았더라면
卡住 kǎ zhù 막히다, 갇히다
总是 zǒngshì 항상
如果 rúguǒ 만약
也许 yěxǔ 어쩌면
嘀咕 dígū 중얼거리다
换个方式 huàn ge fāngshì 방식을 바꾸다
变成 biànchéng ~로 변하다
与其……不如…… yǔqí…… bùrú…… …하기보다는 차라리 …하는 것이 낫다

요약

이 글은 후회와 "미리 알았더라면"이라는 생각이 우리를 막아서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며, 대신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더 낫다고 강조한다.

핵심 메시지:

  • 과거를 후회하는 것보다, 현재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하자.
  • 모든 결정은 과정의 일부이며, 후반부에 가면 또 다른 의미가 생길 수 있다.
  • "미리 알았더라면"이라는 후회보다, "그럼 지금은?"이라는 질문을 던지자.

이런 사고방식은 인생을 좀 더 가볍게 살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1. 심리학적 관점: 후회(regret)의 본질

후회는 왜 생길까?
후회는 주로 다음 두 가지 경우에 발생한다.

  1. 결과를 보고 과거 결정을 평가할 때
    • 우리는 미래를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최선의 선택을 한다.
    • 하지만 시간이 지나 결과를 알게 되면, 과거의 결정을 "틀렸다"고 단정짓고 후회하게 된다.
    • 이는 "결과 편향 (Outcome Bias)" 때문인데, 사람들이 선택 당시의 정보와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2. 현재의 불만족이 과거에 대한 회의로 이어질 때
    • 현재 상황이 만족스럽지 않으면, "내가 그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하고 가정하게 된다.
    • 이는 우리가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 를 하기 때문이다.
    • 예를 들어, "그때 이 길을 선택했더라면 지금 더 행복했을까?" 같은 가정은 끝이 없다.

→ 해결책: 후회하는 대신, 그 선택이 없었다면 지금의 배움과 경험도 없었음을 인식하는 것.


2. 철학적 관점: 실존주의적 해석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는 인간의 자유를 강조하면서도 "선택의 무게" 에 대해 이야기했다.

  • 우리는 항상 선택을 해야 하지만, 그 선택의 결과를 미리 알 수 없다.
  •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후회할 가능성을 안고 살아간다.
  • 하지만 후회를 하는 대신, 지금부터 어떻게 살아갈지를 고민하는 것이 실존적 태도 이다.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운명애(Amor fati)"

  • 니체는 "운명을 사랑하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 즉, 과거를 바꾸려 하지 말고, 그 모든 선택을 받아들이며 현재를 살아가는 것.
  • 이는 "만약 다시 태어나도 똑같이 살겠는가?"라는 니체의 "영원 회귀" 개념과도 연결된다.

→ 해결책: 후회를 버리고, 내 선택이 나를 만든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3. 중국 사상과 연결: 道家(도가)와 儒家(유가)의 시각

이 글의 내용은 중국 철학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존재한다.

  1. 도가(道家): 장자(庄子)의 무위(无为) 사상
    • "이미 지나간 것은 자연의 흐름이다. 후회하지 말고 흐름에 맡겨라."
    • 장자는 "得之我幸, 失之我命" (얻으면 다행이고, 잃으면 그것이 운명이다) 라고 했다.
    • 즉, 과거를 후회하기보다는 흐름에 몸을 맡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2. 유가(儒家): 공자(孔子)의 실천적 태도
    • "过去不可谏,来者犹可追。" (Guòqù bù kě jiàn, láizhě yóu kě zhuī.)
      → "과거는 돌이킬 수 없지만, 미래는 따라잡을 수 있다."
    • 공자는 후회보다는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즉, "그럼 지금은?" 이라는 질문이야말로 공자의 실천적 태도와 맞닿아 있다.

→ 해결책:

  • 도가는 "흐름을 따르며 후회하지 않는 태도" 를 강조하고,
  • 유가는 "지금 할 수 있는 행동을 고민하는 태도" 를 강조한다.
  • 두 가지 모두 이 글의 핵심 메시지와 일맥상통한다.

4. 현실적인 적용: 후회를 줄이는 법

그렇다면 실제 생활에서 "早知道(미리 알았더라면)"라는 후회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선택 당시의 나"를 존중하기
    • 과거의 나는 최선을 다했다.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그때의 나를 부정하지 않기.
    • (예) "그때는 그럴 수밖에 없었어."
  2. 미래 지향적인 질문으로 바꾸기
    •  "그때 왜 그랬을까?" → ⭕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 (예) "내가 그때 그 길을 안 갔다면?" → "지금 이 경험을 어떻게 활용할까?"
  3. 결과보다는 과정에 집중하기
    • 선택의 결과가 아니라, 그 과정에서 내가 얻은 것에 집중한다.
    • (예) "이 일을 해서 실패했지만, 새로운 기술을 배웠다."
  4. "운명애(Amor fati)"를 실천하기
    • 과거를 후회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고 성장의 일부로 삼기.
    • (예) "그때 실수했지만, 덕분에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마무리 정리

이 글이 강조하는 것은 단순한 위로가 아니다.

  • 후회는 누구에게나 있지만, 그 생각에 갇히지 말라는 것이다.
  • 과거의 후회에 머물기보다는, 지금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한다.
  • 후회를 극복하는 방법은, 현재의 선택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의 마지막 문장은 가장 강력하다.

"那现在呢?" (그럼 지금은?)

이 한 마디가 후회를 벗어나 앞으로 나아가는 가장 강력한 질문이 된다.

 

 

'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主持人問 孫儷 이야기  (0) 2025.02.24
我考上大學時,奶奶以死相逼不讓我去讀  (0) 2025.02.23
일본어활용1  (0) 2025.02.23
年少不懂父母恩,懂時已是事中人  (1) 2025.02.22
집중중국어  (0)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