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ohsi
《傲慢與偏見》 본문
讀《傲慢與偏見》
---
《傲慢與偏見》者,英倫才女簡•奧斯汀之傑構也。書名雖含貶義,然其內蘊深遠,情理兼備,文辭雅緻,流芳百世,譽滿寰宇。*初名《最初印象》,肇於一七九七年,歷十六載寒暑,至一八一三年方得問世。其間,奧斯汀經歷父喪、家道中落之變,復撰《理性與感性》等書,為斯書之暢銷鋪路。余每展卷,輒廢寢忘食,感慨繫之。今試探其微旨,以發其幽光。
奧斯汀生於英國鄉紳之家,父為牧師,家道小康。其時英國國力日隆,資本主義興起,社會階層漸變,婚戀觀亦隨之演進。奧氏雖處閨閣,然胸懷丘壑,目含霜刃。彼時女子,多以針黹女紅為務,奧氏獨以筆墨為戈,剖世情如庖丁解牛。其作《傲慢與偏見》,以班納特氏五女之姻緣為經,十九世紀初英倫鄉紳階層之風俗為緯,織就一幅生動畫卷。書中人物,栩栩如生;情節曲折,扣人心弦。傲慢與偏見,二者交織,如陰陽互搏,終歸太極之和。
達西氏,貴胄之後,家資豐厚,才貌雙全,然性若孤峰,傲睨眾生。初現於彬格萊舞會,目無下塵,視眾女子如蒲柳。其傲慢之源,非僅性情之僻,實乃階級之壁壘森然也。伊麗莎白,班納特氏次女,聰慧如星,言辭似劍,雖身處寒門,然志氣不減。初見達西,惡其倨傲,拒其求愛。傲慢如霜,偏見成障,二人遂陷迷霧,咫尺天涯。
《戰國策》云:「以財交者,財盡而交絕;以色交者,華落而愛渝。」 達西以門第自矜,伊麗莎白以偏見蔽目,此二者皆未見「情」之真諦。然奧氏妙筆,令二人於誤會中漸悟本心。達西一紙書信,剖肝瀝膽,伊麗莎白始知往日之偏。傲慢如冰,遇真情則融;偏見似障,因自省而破。 二人冰釋前嫌,終成眷屬,實乃「精誠所至,金石為開」之明證。
---
奧斯汀藉男女之情,繪盡世態炎涼。彼時英倫,婚姻如市,門第為秤。班納特夫人汲汲於攀附豪門,忽視子女德行,致幼女莉迪亞私奔,幾陷家醜。此誠《顏氏家訓》所謂「教子無方,貽禍無窮」也。 反觀夏洛特•盧卡斯,迫於生計,嫁庸碌之柯林斯,雖得溫飽,然終身囿於桎梏,令人扼腕。奧氏以此諷世:「黃金屋中多怨偶,荊釵布衣有真情。」**
至若韋翰之流,巧言令色,詐財騙婚,實為「畫虎畫皮難畫骨」之儔。達西姑母凱瑟琳夫人,恃貴凌人,欲阻良緣,終成笑柄。奧氏以筆為鏡,照見人性之明暗,世道之浮沉,誠如太史公言:「究天人之際,通古今之變。」
奧氏之筆,柔中帶剛,諧中寓莊。其敘事如行雲流水,伏脈千里,草蛇灰線。達西初見伊麗莎白,嫌其「尚可入目」,後竟傾心難抑;伊麗莎白初聞韋翰誑語,深信不疑,終悟其奸。此等筆法,暗合《文心雕龍》「隱秀」之旨——「文外重旨,義生文外」,讀者掩卷之際,自得箇中三昧。
至若書中機鋒,更顯奧氏慧心。伊麗莎白嘲達西:「君之缺陷,乃厭惡世人。」達西反詰:「卿之短處,乃誤解人意。」一問一答,如雙劍交鋒,火花四濺,非但推進情節,更暗藏對階級偏見之鞭笞。此等筆力,可比《世說新語》之雋永。
嗟乎!簡•奧斯汀之才,真可謂*「不櫛進士,掃眉才子」也。其書問世二百餘載,而光華不減。今觀寰宇,傲慢與偏見猶存:或囿於門第,或歧於種族,或執於成見。然《易》云:「窮則變,變則通,通則久。」* 伊麗莎白與達西之和解,正昭示破執之道——以自省破傲慢,以真誠化偏見。此非獨婚戀之鏡,亦為處世之鑒。
昔司馬遷作《史記》,欲「究天人之際」;奧氏作此書,實欲「通情理之變」。傲慢與偏見,人皆有之,然自省則明,情通則和。 後之覽者,若能以奧氏之心為心,則雖隔重洋異代,亦可感其文心,悟其大道矣。
世間萬象,皆可入文;千秋興替,盡在筆端。 奧氏以閨閣之身,鑄不朽之作,足證才華非關鬚眉,文章可越滄海。今撰此文,非惟述其故事,更欲彰其精神——破執見以近道,懷赤忱以觀世。願後世君子,讀此書而思其義,臨俗塵而守其真,則奧氏之志,庶幾不泯焉。謹論。
#馮天樂博士 #世界文學名著 #達西 #傲慢與偏見 #伊莉莎白 #愛情 #婚姻 #情感
- 문장 단위로 정리 (중국어 - 병음 - 한국어 번역)
- 중요한 단어 및 표현 정리
- 문형 분석 및 예문 추가
📌 문장 분석 및 번역
1️⃣ 《傲慢與偏見》者,英倫才女簡•奧斯汀之傑構也。
📖 Pinyin | 병음
《Ào màn yǔ piān jiàn》zhě, Yīng lún cái nǚ Jiǎn Ào sī tīng zhī jié gòu yě.
🇰🇷 번역
《오만과 편견》은 영국의 재능 있는 여류 작가 제인 오스틴의 걸작이다.
📌 문형 분석
- A 者,B 也 → “A란 곧 B이다.” (고전 문체)
- 📍 例: 師者,傳道授業解惑也。
(스승이란, 도를 전하고 학문을 가르치며 의문을 해결해 주는 사람이다.)
- 📍 例: 師者,傳道授業解惑也。
2️⃣ 書名雖含貶義,然其內蘊深遠,情理兼備,文辭雅緻,流芳百世,譽滿寰宇。
📖 Pinyin | 병음
Shū míng suī hán biǎn yì, rán qí nèi yùn shēn yuǎn, qíng lǐ jiān bèi, wén cí yǎ zhì, liú fāng bǎi shì, yù mǎn huán yǔ.
🇰🇷 번역
책 제목에는 비판적인 의미가 담겨 있지만, 그 내적 의미는 깊고, 감성과 이성이 조화를 이루며, 문장이 우아하고 정교하다. 또한 그 명성은 영원히 전해지며, 전 세계에 찬사를 받고 있다.
📌 문형 분석
- 雖……然…… → "비록 …일지라도, 그러나 …이다."
- 📍 例: 雖然天氣寒冷,然大家的熱情不減。
(비록 날씨는 춥지만, 사람들의 열정은 식지 않았다.)
- 📍 例: 雖然天氣寒冷,然大家的熱情不減。
- A 兼備 B → "A와 B를 모두 갖추다."
- 📍 例: 他才華與品德兼備,堪稱楷模。
(그는 재능과 인품을 모두 갖추어 모범이 될 만하다.)
- 📍 例: 他才華與品德兼備,堪稱楷模。
- 流芳百世 → "그 명성이 후세까지 길이 전해지다."
- 📍 例: 他的善行流芳百世。
(그의 선행은 후세까지 전해질 것이다.)
- 📍 例: 他的善行流芳百世。
3️⃣ 初名《最初印象》,肇於一七九七年,歷十六載寒暑,至一八一三年方得問世。
📖 Pinyin | 병음
Chū míng 《Zuì chū yìn xiàng》, zhào yú yī qī jiǔ qī nián, lì shí liù zǎi hán shǔ, zhì yī bā yī sān nián fāng dé wèn shì.
🇰🇷 번역
처음에는 《최초의 인상》이라는 제목이었으며, 1797년에 집필을 시작하여 16년의 세월을 거친 후, 1813년에야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 문형 분석
- A 肇於 B → "A는 B에서 시작되다." (고전적인 표현)
- 📍 例: 文明肇於千年前。
(문명은 천 년 전에 시작되었다.)
- 📍 例: 文明肇於千年前。
- 歷 A 載寒暑 → "A 년의 세월을 거치다."
- 📍 例: 他歷五十載寒暑,終於完成這部鉅作。
(그는 50년의 세월을 거쳐 마침내 이 대작을 완성했다.)
- 📍 例: 他歷五十載寒暑,終於完成這部鉅作。
- 方得問世 → "비로소 세상에 나오다."
- 📍 例: 這部小說歷經多年修改,方得問世。
(이 소설은 수년간의 수정 끝에 비로소 세상에 나왔다.)
- 📍 例: 這部小說歷經多年修改,方得問世。
4️⃣ 其間,奧斯汀經歷父喪、家道中落之變,復撰《理性與感性》等書,為斯書之暢銷鋪路。
📖 Pinyin | 병음
Qí jiān, Ào sī tīng jīng lì fù sàng, jiā dào zhōng luò zhī biàn, fù zhuàn 《Lǐ xìng yǔ gǎn xìng》děng shū, wéi sī shū zhī chàng xiāo pū lù.
🇰🇷 번역
그동안 오스틴은 부친상을 당하고 가세가 기울어지는 변화를 겪었으며, 다시 《이성과 감성》 등의 책을 집필하여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길을 닦았다.
📌 문형 분석
- 經歷 A 之變 → "A라는 변화를 겪다."
- 📍 例: 他經歷國家動蕩之變,飄泊異鄉。
(그는 나라의 혼란을 겪고 타향을 떠돌았다.)
- 📍 例: 他經歷國家動蕩之變,飄泊異鄉。
- 為 A 鋪路 → "A를 위한 길을 닦다."
- 📍 例: 這次比賽為他進入國家隊鋪路。
(이번 경기는 그가 국가대표팀에 들어가는 길을 닦아 주었다.)
- 📍 例: 這次比賽為他進入國家隊鋪路。
5️⃣ 余每展卷,輒廢寢忘食,感慨繫之。
📖 Pinyin | 병음
Yú měi zhǎn juàn, zhé fèi qǐn wàng shí, gǎn kǎi xì zhī.
🇰🇷 번역
나는 책을 펼칠 때마다 항상 잠과 식사를 잊을 정도로 몰입하며, 감개무량한 감정을 느낀다.
📌 문형 분석
- 每 A,輒 B → "A할 때마다, 늘 B하다."
- 📍 例: 每逢佳節,輒思親人。
(명절이 올 때마다 늘 가족을 그리워한다.)
- 📍 例: 每逢佳節,輒思親人。
- 廢寢忘食 → "잠과 식사를 잊다." (몰두하는 모습)
- 📍 例: 他廢寢忘食地研究這個課題。
(그는 이 연구에 몰두하여 잠과 식사를 잊었다.)
- 📍 例: 他廢寢忘食地研究這個課題。
- 感慨繫之 → "감개무량하다." (고전적인 표현)
- 📍 例: 讀此詩,令人感慨繫之。
(이 시를 읽으면 감개무량한 감정이 든다.)
- 📍 例: 讀此詩,令人感慨繫之。
📖 정리 및 예문
📌 고전 문체의 특징
- "之, 其, 斯" 등의 한문 투 표현을 사용하여 문장을 더욱 격조 있게 만듦.
- "者, 也" 등을 활용하여 정의하거나 강조하는 문장을 구성함.
- "肇於, 輒, 方得" 등의 표현을 통해 문장을 더 고급스럽게 만듦.
📌 예문 연습
- A者,B也
- 友誼者,人生之寶也。
(우정이란 인생의 보물이다.) - 知識者,力量之源也。
(지식이란 힘의 원천이다.)
- 友誼者,人生之寶也。
- 雖……然……
- 雖然他年紀輕,然能力超群。
(그는 비록 젊지만, 능력이 뛰어나다.)
- 雖然他年紀輕,然能力超群。
- 為 A 鋪路
- 學習為未來鋪路。
(배움은 미래를 위한 길을 닦는 것이다.)
- 學習為未來鋪路。
6️⃣ 今試探其微旨,以發其幽光。
📖 Pinyin | 병음
Jīn shì tàn qí wēi zhǐ, yǐ fā qí yōu guāng.
🇰🇷 번역
이제 그 미묘한 뜻을 탐구하여, 그 깊은 빛을 밝혀 보고자 한다.
📌 문형 분석
- 試探 A → "A를 시험 삼아 탐구하다."
- 📍 例: 他試探對方的想法。
(그는 상대방의 생각을 떠보았다.)
- 📍 例: 他試探對方的想法。
- 以 A B → "A를 통해 B를 하다."
- 📍 例: 以史為鑑,可以知興替。
(역사를 거울로 삼으면 흥망성쇠를 알 수 있다.)
- 📍 例: 以史為鑑,可以知興替。
7️⃣ 奧斯汀生於英國鄉紳之家,父為牧師,家道小康。
📖 Pinyin | 병음
Ào sī tīng shēng yú Yīng guó xiāng shēn zhī jiā, fù wéi mù shī, jiā dào xiǎo kāng.
🇰🇷 번역
오스틴은 영국의 향신(鄉紳)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목사였고 가정 형편은 비교적 넉넉했다.
📌 문형 분석
- 生於 A → "A에서 태어나다."
- 📍 例: 孔子生於魯國。
(공자는 노나라에서 태어났다.)
- 📍 例: 孔子生於魯國。
- A 為 B → "A는 B이다." (문어체 표현)
- 📍 例: 此物為寶。
(이것은 보물이다.)
- 📍 例: 此物為寶。
- 家道小康 → "가정 형편이 비교적 넉넉하다."
- 📍 例: 他家道小康,生活無憂。
(그의 가정은 비교적 여유로워 생활에 걱정이 없다.)
- 📍 例: 他家道小康,生活無憂。
8️⃣ 其時英國國力日隆,資本主義興起,社會階層漸變,婚戀觀亦隨之演進。
📖 Pinyin | 병음
Qí shí Yīng guó guó lì rì lóng, zī běn zhǔ yì xīng qǐ, shè huì jiē céng jiàn biàn, hūn liàn guān yì suí zhī yǎn jìn.
🇰🇷 번역
당시 영국은 국력이 날로 강성해졌으며, 자본주의가 부흥하고, 사회 계층이 점차 변화하였고, 결혼과 연애에 대한 관점 또한 이에 따라 발전하였다.
📌 문형 분석
- A 日隆 → "A가 날로 강성해지다."
- 📍 例: 國力日隆,人民富足。
(국력이 날로 강성해지고, 국민이 풍요로워졌다.)
- 📍 例: 國力日隆,人民富足。
- A 漸變 → "A가 점차 변하다."
- 📍 例: 社會風氣漸變,人心不古。
(사회 풍조가 점차 변하면서, 예전의 미덕이 사라졌다.)
- 📍 例: 社會風氣漸變,人心不古。
- A 亦隨之 B → "A 또한 이에 따라 B하다."
- 📍 例: 經濟發展,人民生活亦隨之改善。
(경제가 발전하면서, 국민 생활 또한 이에 따라 개선되었다.)
- 📍 例: 經濟發展,人民生活亦隨之改善。
9️⃣ 奧氏雖處閨閣,然胸懷丘壑,目含霜刃。
📖 Pinyin | 병음
Ào shì suī chǔ guī gé, rán xiōng huái qiū hè, mù hán shuāng rèn.
🇰🇷 번역
오스틴은 비록 규방에 머물렀으나, 가슴에는 웅대한 뜻을 품고 있었으며, 눈빛에는 날카로움이 서려 있었다.
📌 문형 분석
- 雖 A,然 B → "비록 A일지라도, 그러나 B하다."
- 📍 例: 雖困難重重,然他從未放棄。
(비록 어려움이 많았으나, 그는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 📍 例: 雖困難重重,然他從未放棄。
- 胸懷丘壑 → "가슴에 웅대한 뜻을 품다."
- 📍 例: 詩人胸懷丘壑,詩詞磅礡。
(시인은 웅대한 뜻을 품고 있어, 시가 웅장하다.)
- 📍 例: 詩人胸懷丘壑,詩詞磅礡。
- 目含霜刃(mù hán shuāng rèn)은 중국 고사성어로,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눈에 서리칼을 품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매우 날카롭고 냉혹한 시선이나 분노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霜刃 (shuāng rèn): 서리칼, 차가운 칼 (서리로 덮인 날카로운 칼, 비유적으로 매우 날카롭고 냉정한 칼날을 의미)
이 표현은 사람이 차가운 분노나 매우 날카로운 시선을 가질 때 사용됩니다. 즉, 분노를 참지 못하고, 눈빛이나 태도가 매우 강하고 냉혹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 例:
- 他目含霜刃,看著我走過來。
(그는 눈에 서리칼을 품고 나를 바라보았다.)- 여기서는 누군가가 매우 날카로운 눈빛으로 자신을 쳐다본 상황을 묘사합니다.
- 目含霜刃的她,沒有說話,但每一個眼神都像是一把刀。
(서리칼을 품은 그녀는 말은 하지 않았지만, 그녀의 모든 시선은 마치 칼처럼 날카로웠다.)- 이 표현은 감정적으로 강렬한 상태를 잘 전달해줍니다.
문형 분석:
- 目含 + 霜刃: "눈에 ~을 품다"는 의미로, 눈빛이나 시선이 특정한 감정이나 상태를 전달한다고 할 때 사용됩니다.
🔟 彼時女子,多以針黹女紅為務,奧氏獨以筆墨為戈,剖世情如庖丁解牛。
📖 Pinyin | 병음
Bǐ shí nǚ zǐ, duō yǐ zhēn zhǐ nǚ hóng wéi wù, Ào shì dú yǐ bǐ mò wéi gē, pōu shì qíng rú páo dīng jiě niú.
🇰🇷 번역
당시 여성들은 대부분 바느질과 수예를 본업으로 삼았으나, 오스틴은 오직 붓과 먹을 무기로 삼아, 세상의 정세를 해부하기를 포정(庖丁)이 소를 가르듯이 하였다.
📌 문형 분석
- 多以 A 為 B → "대부분 A를 B로 삼다."
- 📍 例: 古人多以詩詞為樂。
(옛사람들은 대부분 시를 즐거움으로 삼았다.)
- 📍 例: 古人多以詩詞為樂。
- 獨以 A 為 B → "오직 A를 B로 삼다."
- 📍 例: 他獨以劍術為生。
(그는 오직 검술로 생계를 유지했다.)
- 📍 例: 他獨以劍術為生。
- 如 A B → "A가 B하는 것과 같다."
- 📍 例: 他解數學題如庖丁解牛。
(그는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이 포정이 소를 가르는 것과 같다. → 아주 능숙하다.)
- 📍 例: 他解數學題如庖丁解牛。
1️⃣1️⃣ 其作《傲慢與偏見》,以班納特氏五女之姻緣為經,十九世紀初英倫鄉紳階層之風俗為緯,織就一幅生動畫卷。
📖 Pinyin | 병음
Qí zuò "Ào màn yǔ piān jiàn", yǐ Bān nà tè shì wǔ nǚ zhī yīn yuán wéi jīng, shí jiǔ shì jì chū Yīng lún xiāng shēn jiē céng zhī fēng sú wéi wěi, zhī jiù yī fú shēng dòng huà juǎn.
🇰🇷 번역
그가 쓴 《오만과 편견》은 베넷 가문의 다섯 딸의 혼사를 경(經)으로 삼고, 19세기 초 영국의 향신 계층의 풍속을 위(緯)로 삼아, 한 폭의 생동감 넘치는 그림을 엮어냈다.
📌 문형 분석
- 以 A 為 B → "A를 B로 삼다."
- 📍 例: 以書為友。
(책을 친구로 삼다.)
- 📍 例: 以書為友。
- 織就 A → "A를 엮어내다."
- 📍 例: 他織就一首動人詩篇。
(그는 한 편의 감동적인 시를 엮어냈다.)
- 📍 例: 他織就一首動人詩篇。
1️⃣2️⃣ 書中人物,栩栩如生;情節曲折,扣人心弦。
📖 Pinyin | 병음
Shū zhōng rén wù, xǔ xǔ rú shēng; qíng jié qū zhé, kòu rén xīn xián.
🇰🇷 번역
책 속 인물들은 마치 살아 있는 듯하고, 줄거리는 굴곡져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 문형 분석
- 栩栩如生 → "생동감 넘치다."
- 📍 例: 這幅畫中的人物栩栩如生。
(이 그림 속 인물은 생동감 넘친다.)
- 📍 例: 這幅畫中的人物栩栩如生。
- A 扣人心弦 → "A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다."
- 📍 例: 這場演出扣人心弦。
(이 공연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 📍 例: 這場演出扣人心弦。
1️⃣3️⃣ 傲慢與偏見,二者交織,如陰陽互搏,終歸太極之和。
📖 Pinyin | 병음
Ào màn yǔ piān jiàn, èr zhě jiāo zhī, rú yīn yáng hù bó, zhōng guī tài jí zhī hé.
🇰🇷 번역
오만과 편견은 서로 얽혀 있으며, 마치 음과 양이 맞부딪히듯 하지만, 결국 태극의 조화로 귀결된다.
📌 문형 분석
- A 交織 → "A가 서로 얽혀 있다."
- 📍 例: 歡樂與悲傷交織。
(기쁨과 슬픔이 서로 얽혀 있다.)
- 📍 例: 歡樂與悲傷交織。
- 如 A B → "A가 B하는 것과 같다."
- 📍 例: 敵我如棋局交戰。
(적과 나는 마치 바둑판에서 대결하는 것과 같다.)
- 📍 例: 敵我如棋局交戰。
1️⃣4️⃣ 達西氏,貴胄之後,家資豐厚,才貌雙全,然性若孤峰,傲睨眾生。
📖 Pinyin | 병음
Dá xī shì, guì zhòu zhī hòu, jiā zī fēng hòu, cái mào shuāng quán, rán xìng ruò gū fēng, ào nì zhòng shēng.
🇰🇷 번역
다아시는 귀족 가문의 후예로, 집안이 부유하고 재능과 외모를 겸비했으나, 성격은 마치 외로운 봉우리 같아, 거만하게 세상을 내려다보았다.
📌 문형 분석
- A 之後 → "A의 후손, 후예"
- 📍 例: 孔子之後,皆以學問為重。
(공자의 후예들은 모두 학문을 중시했다.)
- 📍 例: 孔子之後,皆以學問為重。
- 才貌雙全 → "재능과 외모를 모두 갖추다."
- 📍 例: 她才貌雙全,深受敬仰。
(그녀는 재능과 외모를 겸비하여 깊이 존경받는다.)
- 📍 例: 她才貌雙全,深受敬仰。
- A 若 B → "A는 마치 B와 같다."
- 📍 例: 他的堅持若磐石。
(그의 고집은 마치 바위와 같다.)
- 📍 例: 他的堅持若磐石。
- 傲睨眾生 → "거만하게 세상을 내려다보다."
- 📍 例: 他天資聰穎,難免傲睨眾生。
(그는 타고난 영특함 때문에 자연스럽게 세상을 내려다보는 태도를 가졌다.)
- 📍 例: 他天資聰穎,難免傲睨眾生。
1️⃣5️⃣ 初現於彬格萊舞會,目無下塵,視眾女子如蒲柳。
📖 Pinyin | 병음
Chū xiàn yú Bīn gé lái wǔ huì, mù wú xià chén, shì zhòng nǚ zǐ rú pú liǔ.
🇰🇷 번역
그는 처음으로 빙글리 무도회에 등장했을 때, 아래 사람들을 깔보며, 모든 여성을 보잘것없는 풀처럼 여겼다.
📌 문형 분석
- 初現於 A → "A에 처음으로 등장하다."
- 📍 例: 他初現於影壇,就大放異彩。
(그는 영화계에 처음 등장하자마자 큰 주목을 받았다.)
- 📍 例: 他初現於影壇,就大放異彩。
- 目無下塵 → "아랫사람을 깔보다, 거만하다."
- 📍 例: 他才高八斗,難免目無下塵。
(그는 학식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거만해질 수밖에 없다.)
- 📍 例: 他才高八斗,難免目無下塵。
- 視 A 如 B → "A를 B처럼 여기다."
- 📍 例: 他視金錢如糞土。
(그는 돈을 오물처럼 여긴다.)
- 📍 例: 他視金錢如糞土。
1️⃣6️⃣ 其傲慢之源,非僅性情之僻,實乃階級之壁壘森然也。
📖 Pinyin | 병음
Qí ào màn zhī yuán, fēi jǐn xìng qíng zhī pì, shí nǎi jiē jí zhī bì lěi sēn rán yě.
🇰🇷 번역
그의 오만함의 근원은 단순히 성격이 까다로운 것뿐만 아니라, 실은 계급의 장벽이 견고하기 때문이었다.
📌 문형 분석
- 非僅 A,實乃 B → "단순히 A 때문이 아니라, 실은 B 때문이다."
- 📍 例: 成功非僅努力,實乃機遇與人脈之結合。
(성공은 단순히 노력 때문이 아니라, 실은 기회와 인맥의 결합 때문이다.)
- 📍 例: 成功非僅努力,實乃機遇與人脈之結合。
- 階級之壁壘森然 → "계급 장벽이 견고하다."
- 📍 例: 在封建時代,階級之壁壘森然,貧民難以翻身。
(봉건 시대에는 계급의 장벽이 견고하여, 가난한 사람들이 신분을 바꾸기 어려웠다.)
- 📍 例: 在封建時代,階級之壁壘森然,貧民難以翻身。
1️⃣7️⃣ 伊麗莎白,班納特氏次女,聰慧如星,言辭似劍,雖身處寒門,然志氣不減。
📖 Pinyin | 병음
Yī lì shā bái, Bān nà tè shì cì nǚ, cōng huì rú xīng, yán cí sì jiàn, suī shēn chǔ hán mén, rán zhì qì bù jiǎn.
🇰🇷 번역
엘리자베스는 베넷 가문의 둘째 딸로, 지혜가 별처럼 빛나고 말이 칼날처럼 예리했으며, 비록 가난한 집안 출신이지만 기개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
📌 문형 분석
- A 如 B → "A는 마치 B와 같다."
- 📍 例: 她的歌聲如天籟。
(그녀의 노래 소리는 마치 천상의 소리와 같다.)
- 📍 例: 她的歌聲如天籟。
- 雖 A,然 B → "비록 A이지만, 그러나 B하다."
- 📍 例: 雖處逆境,然不言放棄。
(비록 역경에 처했으나,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 📍 例: 雖處逆境,然不言放棄。
- 志氣不減 → "기개가 줄어들지 않다."
- 📍 例: 戰士雖年老,然志氣不減。
(전사는 비록 나이가 들었지만, 기개는 줄어들지 않았다.)
- 📍 例: 戰士雖年老,然志氣不減。
1️⃣8️⃣ 初見達西,惡其倨傲,拒其求愛。
📖 Pinyin | 병음
Chū jiàn Dá xī, è qí jù ào, jù qí qiú ài.
🇰🇷 번역
엘리자베스는 처음 다아시를 보았을 때, 그의 거만함을 싫어하여 그의 사랑 고백을 거절했다.
📌 문형 분석
- 初見 A,B → "처음 A를 보고, B하다."
- 📍 例: 初見此景,不禁驚嘆。
(처음 이 광경을 보고, 감탄을 금치 못했다.)
- 📍 例: 初見此景,不禁驚嘆。
- 惡其 A → "그의 A를 싫어하다."
- 📍 例: 惡其虛偽,避而遠之。
(그의 위선을 싫어하여 멀리했다.)
- 📍 例: 惡其虛偽,避而遠之。
- 拒其 A → "그의 A를 거절하다."
- 📍 例: 拒其請託,不為所動。
(그의 청탁을 거절하고, 흔들리지 않았다.)
- 📍 例: 拒其請託,不為所動。
1️⃣9️⃣ 傲慢如霜,偏見成障,二人遂陷迷霧,咫尺天涯。
📖 Pinyin | 병음
Ào màn rú shuāng, piān jiàn chéng zhàng, èr rén suì xiàn mí wù, zhǐ chǐ tiān yá.
🇰🇷 번역
오만은 서리처럼 차가웠고, 편견은 장벽이 되어, 두 사람은 결국 안개 속에 빠져 가까이 있으면서도 먼 사이가 되었다.
📌 문형 분석
- A 如 B → "A는 마치 B와 같다."
- 📍 例: 此話如雷貫耳。
(이 말은 마치 천둥이 귀를 때리는 것 같았다.)
- 📍 例: 此話如雷貫耳。
- A 成 B → "A가 B가 되다."
- 📍 例: 分歧成矛盾,終至決裂。
(의견 차이가 갈등이 되어, 결국 결렬되었다.)
- 📍 例: 分歧成矛盾,終至決裂。
- 咫尺天涯 → "가까이 있으면서도 멀다."
- 📍 例: 心若不契,即便朝夕相處,亦咫尺天涯。
(마음이 통하지 않으면, 비록 매일 같이 있어도 가까운 듯 먼 사이가 된다.)
- 📍 例: 心若不契,即便朝夕相處,亦咫尺天涯。
2️⃣0️⃣ 達西以門第自矜,伊麗莎白以偏見蔽目,此二者皆未見「情」之真諦。
📖 Pinyin | 병음
Dá xī yǐ mén dì zì jīn, Yī lì shā bái yǐ piān jiàn bì mù, cǐ èr zhě jiē wèi jiàn ‘qíng’ zhī zhēn dì.
🇰🇷 번역
다아시는 가문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엘리자베스는 편견으로 눈이 가려져 있었으니, 이 두 사람 모두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보지 못했다.
📌 문형 분석
- 以 A 自矜 → "A를 자랑스럽게 여기다."
- 📍 例: 以聰慧自矜,卻難容異見。
(자신의 영리함을 자랑스럽게 여기지만,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 📍 例: 以聰慧自矜,卻難容異見。
- 以 A 蔽目 → "A 때문에 눈이 가려지다."
- 📍 例: 以憤怒蔽目,未見真相。
(분노로 인해 눈이 가려져, 진실을 보지 못했다.)
- 📍 例: 以憤怒蔽目,未見真相。
- 未見 A 之真諦 → "A의 진정한 의미를 보지 못하다."
- 📍 例: 未見友誼之真諦,遂因瑣事反目。
(우정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지 못해, 결국 사소한 일로 갈라섰다.)
- 📍 例: 未見友誼之真諦,遂因瑣事反目。
2️⃣1️⃣ 然奧氏妙筆,令二人於誤會中漸悟本心。
📖 Pinyin | 병음
Rán Ào shì miào bǐ, lìng èr rén yú wù huì zhōng jiàn wù běn xīn.
🇰🇷 번역
그런데 오스틴의 탁월한 필력은 두 사람이 오해 속에서 점차 본심을 깨닫게 했다.
- 令 + 목적어 + 동사: "~을 ~하게 하다"는 구문으로, 어떤 행동이나 변화를 일으킬 때 사용됩니다.
- 예: 令他痛苦 (그를 고통스럽게 하다), 令我們高興 (우리를 기쁘게 하다)
- 於 + 명사: "~에서"라는 의미로, 특정 상황이나 장소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예: 在學校 (학교에서), 於困境中 (곤경 속에서)
- 漸 + 동사: "~을 점차적으로 하다"는 의미로, 점진적으로 어떤 일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예: 漸了解 (점차적으로 이해하다), 漸習慣 (점차적으로 익숙해지다)
📌 예문
- 他的話令我感動。
(그의 말은 나를 감동하게 했다.)- 이 문장에서 令은 "감동을 일으키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他漸悟自己錯了。
(그는 점차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깨달았다.)- 漸悟는 점차 깨닫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 妙筆 (miào bǐ): 탁월한 필력, 뛰어난 글쓰기
- 於 (yú): ~에서 (전치사, 장소나 상황을 나타냄)
- 誤會 (wù huì): 오해, 잘못된 이해
- 中 (zhōng): ~속에서, ~중에
- 漸悟 (jiàn wù): 점차 깨닫다
- 本心 (běn xīn): 본심, 진심, 본래의 마음
2️⃣2️⃣ 達西一紙書信,剖肝瀝膽,伊麗莎白始知往日之偏。
📖 Pinyin | 병음
Dá xī yī zhǐ shū xìn, pōu gān lì dǎn, Yī lì shā bái shǐ zhī wǎng rì zhī piān.
🇰🇷 번역
다아시는 한 통의 편지에 자신의 진심을 모두 담아냈고, 엘리자베스는 그제서야 과거 자신의 편견을 깨닫게 되었다.
📌 문형 분석
- 一紙書信 → "한 장의 편지"
- 📍 例: 他以一紙書信,寄訴衷腸。
(그는 한 장의 편지에 자신의 깊은 속마음을 담아 보냈다.)
- 📍 例: 他以一紙書信,寄訴衷腸。
- 剖肝瀝膽 → "진심을 모두 털어놓다."
- 📍 例: 友人剖肝瀝膽,言盡於此。
(친구가 진심을 모두 털어놓았으니, 말할 것을 다 했다.)
- 📍 例: 友人剖肝瀝膽,言盡於此。
- 始知 A → "비로소 A를 알게 되다."
- 📍 例: 經歷挫折,始知堅持之可貴。
(좌절을 겪고 나서야 비로소 인내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 📍 例: 經歷挫折,始知堅持之可貴。
2️⃣3️⃣ 傲慢如冰,遇真情則融;偏見似障,因自省而破。
📖 Pinyin | 병음
Ào màn rú bīng, yù zhēn qíng zé róng; piān jiàn sì zhàng, yīn zì xǐng ér pò.
🇰🇷 번역
오만은 얼음과 같아서 진정한 사랑을 만나면 녹고, 편견은 장벽과 같아서 스스로 반성하면 무너진다.
📌 문형 분석
- A 如 B → "A는 마치 B와 같다."
- 📍 例: 友誼如酒,愈久愈醇。
(우정은 술과 같아, 오래될수록 깊어진다.)
- 📍 例: 友誼如酒,愈久愈醇。
- 遇 A 則 B → "A를 만나면 B가 된다."
- 📍 例: 遇挑戰則奮起,方顯英雄本色。
(도전에 직면하면 분발해야 비로소 영웅다운 면모가 드러난다.)
- 📍 例: 遇挑戰則奮起,方顯英雄本色。
- 因 A 而 B → "A 때문에 B가 되다."
- 📍 例: 因努力而成功,非僥倖所得。
(노력했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지, 요행으로 얻은 것이 아니다.)
- 📍 例: 因努力而成功,非僥倖所得。
2️⃣4️⃣ 彼時英倫,婚姻如市,門第為秤。
📖 Pinyin | 병음
Bǐ shí Yīng lún, hūn yīn rú shì, mén dì wéi chèng.
🇰🇷 번역
그 당시 영국에서는 결혼이 시장과 같았고, 가문이 저울이 되었다.
📌 문형 분석
- 彼時 A → "그 당시 A"
- 📍 例: 彼時亂世,民不聊生。
(그 당시 혼란스러운 세상이라 백성들이 생계를 꾸려가기 어려웠다.)
- 📍 例: 彼時亂世,民不聊生。
- A 如 B → "A는 마치 B와 같다."
- 📍 例: 歲月如歌,匆匆流逝。
(세월은 노래와 같아서, 순식간에 흘러간다.)
- 📍 例: 歲月如歌,匆匆流逝。
- A 為 B → "A가 B가 되다."
- 📍 例: 勤奮為成功之鑰。
(근면함은 성공의 열쇠가 된다.)
- 📍 例: 勤奮為成功之鑰。
2️⃣5️⃣ 達西姑母凱瑟琳夫人,恃貴凌人,欲阻良緣,終成笑柄。
📖 Pinyin | 병음
Dá xī gū mǔ Kǎi sè lín fū rén, shì guì líng rén, yù zǔ liáng yuán, zhōng chéng xiào bǐng.
🇰🇷 번역
다아시의 고모 캐서린 부인은 자신의 귀족 신분을 믿고 남을 업신여겼으며, 좋은 인연을 막으려 했으나 결국 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 문형 분석
- 恃 A 凌 B → "A를 믿고 B를 업신여기다."
- 📍 例: 恃才凌人,終招怨恨。
(재능을 믿고 남을 무시하면, 결국 원망을 사게 된다.)
- 📍 例: 恃才凌人,終招怨恨。
- 欲 A,終 B → "A를 하고자 했으나, 결국 B가 되다."
- 📍 例: 欲巧言惑眾,終露馬腳。
(달콤한 말로 사람들을 속이려 했지만, 결국 본색이 드러났다.)
- 📍 例: 欲巧言惑眾,終露馬腳。
- 成笑柄 → "웃음거리가 되다."
- 📍 例: 作茍且之事,必成笑柄。
(소극적인 일을 하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된다.)
- 📍 例: 作茍且之事,必成笑柄。
2️⃣6️⃣ 奧氏以筆為鏡,照見人性之明暗,世道之浮沉。
📖 Pinyin | 병음
Ào shì yǐ bǐ wéi jìng, zhào jiàn rén xìng zhī míng àn, shì dào zhī fú chén.
🇰🇷 번역
오스틴은 붓을 거울 삼아 인간 본성의 밝음과 어두움을 비추고, 세상의 흥망성쇠를 보여주었다.
📌 문형 분석
- 以 A 為 B → "A를 B로 삼다."
- 📍 例: 以史為鑒,可以知興替。
(역사를 거울로 삼으면, 흥망성쇠를 알 수 있다.)
- 📍 例: 以史為鑒,可以知興替。
- 照見 A → "A를 비춰서 보다."
- 📍 例: 明月照見湖水,波光粼粼。
(밝은 달이 호수를 비추니, 물결이 반짝인다.)
- 📍 例: 明月照見湖水,波光粼粼。
- A 之 B → "A의 B" (고전적인 문장 구조)
- 📍 例: 天地之大,無所不容。
(하늘과 땅이 크니, 포용하지 못할 것이 없다.)
- 📍 例: 天地之大,無所不容。
2️⃣7️⃣ 達西初見伊麗莎白,嫌其「尚可入目」,後竟傾心難抑。
📖 Pinyin | 병음
Dá xī chū jiàn Yī lì shā bái, xián qí "shàng kě rù mù", hòu jìng qīng xīn nán yì.
🇰🇷 번역
다아시는 처음 엘리자베스를 보고 "그럭저럭 볼 만하다"며 탐탁지 않게 여겼으나, 나중에는 결국 마음을 억누를 수 없을 정도로 사랑하게 되었다.
📌 문형 분석
- 初見 A → "A를 처음 만나다."
- 📍 例: 初見此景,驚為天人。
(처음 이 풍경을 보고 경이로움을 느꼈다.)
- 📍 例: 初見此景,驚為天人。
- 嫌 A → "A를 탐탁지 않게 여기다."
- 📍 例: 嫌其言語粗俗,不欲深交。
(그의 말이 거칠다고 여겨 깊이 사귀고 싶지 않았다.)
- 📍 例: 嫌其言語粗俗,不欲深交。
- 後竟 A → "나중에는 결국 A가 되다."
- 📍 例: 初謀未定,後竟大功告成。
(처음에는 계획이 확실치 않았지만, 나중에는 결국 큰 성공을 이루었다.)
- 📍 例: 初謀未定,後竟大功告成。
2️⃣8️⃣ 嗟乎!簡•奧斯汀之才,真可謂「不櫛進士,掃眉才子」也。
📖 Pinyin | 병음
Jiē hū! Jiǎn Ào sī tīng zhī cái, zhēn kě wèi "bù zhì jìn shì, sǎo méi cái zǐ" yě.
🇰🇷 번역
아! 제인 오스틴의 재능은 정말로 "비녀를 꽂지 않은 진사이자, 눈썹을 그린 문장가"라고 할 만하다.
📌 문형 분석
- 嗟乎! → "아!" (감탄사)
- 📍 例: 嗟乎!壯志未酬,令人惋惜。
(아! 뜻을 이루지 못해 안타깝다.)
- 📍 例: 嗟乎!壯志未酬,令人惋惜。
- 真可謂 A 也 → "정말로 A라고 할 수 있다."
- 📍 例: 真可謂奇才也!
(정말로 천재라고 할 만하다!)
- 📍 例: 真可謂奇才也!
- 不 A,B → "A를 하지 않지만, B이다."
- 📍 例: 不求聞達,但求無愧於心。
(세상에 이름을 알리려 하지 않지만, 마음에 부끄럽지 않기를 바란다.)
- 📍 例: 不求聞達,但求無愧於心。
2️⃣9️⃣ 今觀寰宇,傲慢與偏見猶存:或囿於門第,或歧於種族,或執於成見。
📖 Pinyin | 병음
Jīn guān huán yǔ, ào màn yǔ piān jiàn yóu cún: huò yòu yú mén dì, huò qí yú zhǒng zú, huò zhí yú chéng jiàn.
🇰🇷 번역
지금 세계를 둘러보아도, 오만과 편견은 여전히 존재한다. 어떤 이는 가문에 갇히고, 어떤 이는 인종을 차별하며, 어떤 이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 문형 분석
- 今觀 A,B 猶存 → "지금 A를 보아도, B는 여전히 존재한다."
- 📍 例: 今觀人間,貧富懸殊猶存。
(지금 세상을 보아도, 빈부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 📍 例: 今觀人間,貧富懸殊猶存。
- 或 A,或 B,或 C → "어떤 이는 A, 어떤 이는 B, 어떤 이는 C"
- 📍 例: 或勤奮向上,或遊手好閒,或碌碌無為。
(어떤 이는 열심히 노력하고, 어떤 이는 빈둥거리며, 어떤 이는 무의미하게 보낸다.)
- 📍 例: 或勤奮向上,或遊手好閒,或碌碌無為。
- 囿於 A → "A에 갇히다."
- 📍 例: 囿於偏見,難見真理。
(편견에 갇히면, 진리를 보기 어렵다.)
- 📍 例: 囿於偏見,難見真理。
3️⃣0️⃣ 傲慢與偏見,人皆有之,然自省則明,情通則和。
📖 Pinyin | 병음
Ào màn yǔ piān jiàn, rén jiē yǒu zhī, rán zì xǐng zé míng, qíng tōng zé hé.
🇰🇷 번역
오만과 편견은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스스로 반성하면 깨닫게 되고, 감정을 소통하면 화합할 수 있다.
📌 문형 분석
- A,人皆有之 → "A는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 📍 例: 煩惱,人皆有之。
(걱정은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 📍 例: 煩惱,人皆有之。
- 然 A 則 B → "그러나 A하면 B가 된다."
- 📍 例: 然努力則成功。
(그러나 노력하면 성공한다.)
- 📍 例: 然努力則成功。
- 情通則和 → "감정을 소통하면 화합할 수 있다."
- 📍 例: 兄弟情通則和,誤解則疏。
(형제는 감정을 소통하면 화합하고, 오해하면 멀어진다.)
- 📍 例: 兄弟情通則和,誤解則疏。
'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如何让男人回来找你的方法 (0) | 2025.02.13 |
---|---|
初探大理1992 (0) | 2025.02.09 |
婚姻是一個選擇項,而不是人生的必選項。 (0) | 2025.02.08 |
비즈니스 중국어 (0) | 2025.02.07 |
역사탄탄 중국어 7 (1)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