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ohsi
한자 학습요령2 본문
部首
중어중문학과 교수 오문의
部首(부수)를 처음으로 창안하여 한자를 분류한 사람은 漢代(한대)의 許愼(허신)이다. 그는 ≪說文解字(설문해자)≫라는 책에서 9,353개의 한자를 540개의 부수에 의거하여 분류하였다. 그 후 부수의 수가 점점 감소하여 지금 쓰이고 있는 대부분의 사전이나 옥편은 214개의 부수에 의거하여 한자를 분류하고 있다.
許愼은 본래 한자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중국에서는 ‘形符’(형부)라고 하는데, 이 글에서는 ‘의미요소’라고 칭함)을 부수로 선정하였다. 예를 들면 ‘示’(보일 시; shì)는 본래 제단을 의미하기 때문에 ‘示’가 포함되어 있는 한자는 일반적으로 신이나 길흉화복과 관련이 깊다. ‘神’(귀신 신), ‘社’(땅신 사), ‘祝’(빌 축: 귀신에게 복을 구하다), ‘福’(복 복), ‘祭’(제사 제)’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부수로 쓰이는 각 한자들이 무슨 의미를 나타내는지를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는 한자부수 214개 가운데 자주 쓰이는 부수를 주제별로 설명한다.
(1) 인체의 전체 모양과 관련이 있는 부수
1. 人(亻) : 사람 인변; 單人旁/單立人兒
(‘人’ 뒤의 괄호 안에는 그 부수의 다른 자형을 제시하였다. ‘사람 인변’은 해당 부수에 대한 우리말 명칭이며, ‘單人旁/單立人兒’은 해당 부수에 대한 중국어 명칭이다. 명칭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 명칭 사이에 ‘/’를 첨가하였다.) 측면에서 본 사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人’인 글자들은 대부분 인체, 사람의 품성, 사회조직, 사회지위와 관련이 있다.
- 囚(가둘 수; qiú)
- 從(從)(좇을 종; cóng)
- 衆(衆)(무리 중; zhòng)
- 信(믿을 신; xìn) : 사람의 말에 믿음이 있음. 人과 言의 회의자
- 他(다를 타; tā)
- 仕(벼슬할 사; shì)
- 仙(신선 선; xiān)
2. 彳 : 두인변(자축거릴 척, chì); 雙人旁/雙立人
발, 종아리, 허벅지가 연결된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彳’인 글자들은 대부분 걷는 동작, 길, 발동작과 관련이 있다.
- 往(갈 왕; wǎng)
- 徐(천천히 서, xú)
- 徒(걸어다닐 도, tu): 무리, 걷다
- 從(좇을 종, cóng)
3. 儿 : 어진사람 인변; 兒字底
사람이 걸어가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兒’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람과 관련이 있다.
- 元(으뜸 원; yuán): 사람의 머리
- 兄(맏 형; xiōng): 큰 입, 연장자 명령
- 光(빛 광; guāng): 머리에 불을 이고 있는 모양. 火와 儿의 회의자.
4. 大 : 큰 대; 大字頭
우뚝 선 사람의 모양을 정면에서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大’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람이나 ‘크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 夷(오랑캐 이; yí): 큰 화살을 쓰는 사람들. 大와 弓의 회의자
- 天(하늘 천; tiān)
- 夫(지아비 부; fū)
- 交(사귈 교; jiāo)
- 夾(낄 협; jiā, jiá, gā): 한 사람(大)을 옆에서 두 사람(人)이 잡고 있는 모양
5. 身 : 몸 신변; 身字旁
‘身’의 자형은 배가 나온 여자의 옆모습으로, 본래의 의미는 ‘임신하다’이다. 후에 인신되어 ‘신체’‧‘자기’‧‘직접’이라는 뜻이 생겨났다. 의미요소가 ‘身’인 글자들은 신체와 관련이 있다.
- 躬(몸 궁; gōng)
- 躺(누울 당; tǎng)
- 躱(비킬/숨을 타; duǒ)
- 射(궁술 사; shè): 본래 ‘弓’자였는데, 후에 형태가 ‘身’로 변했기 때문에 신체와 관련된 의미가 없음
6. 女 : 계집 녀; 女字旁
여자가 두 손을 앞으로 하고 끓어앉아 있는 모양을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女’인 글자들은 여자와 관련이 성질이나 사물, 동작 등을 나타낸다.
- 姦(간사할 간; jiān)
- 婦(며느리 부; fù): 여자(女)가 빗자루(帚(비 추; zhǒu))를 들고 있는 모양
- 安(편안할 안; ān)
- 好(좋을 호; hǎo, hào)
- 嬲(희학질할 뇨; niǎo)
(2) 인체 일부분이나 기관과 관련이 있는 부수
7. ⺼(肉) : 고기육변; 肉月底(旁)
고기 덩어리를 상형한 글자이다. 갑골문에는 고기덩어리 하나를 그렸지만, ‘肉’은 두 덩어리를 그린 형태이다. ‘肉’의 변형체인 ‘月’은 신체의 부위, 신체와 관련이 있거나 고기의 종류를 나타낸다.
- 脚(다리 각; jiǎo)
- 肩(어깨 견; jiān)
- 肝(간 간; gān)
- 臟(오장 장; zàng, zāng)
- 肥(살찔 비; féi)
- 脂(기름 지; zhī)
- 脯(포 포; pú); 저미어 말린 고기
8. 骨 : 뼈 골변; 骨字旁
어깨뼈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骨’인 글자들은 대부분 ‘뼈’나 ‘신체’와 관련이 있다.
- 骸(뼈 해; hái); 骸骨(해골)
- 髓(골수 수; suǐ); 骨髓(골수)
9. 心/忄/㣺 : 심방변; 心字旁/竪心旁(底)兒
심장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心’이 偏旁으로 쓰이면 형태가 ‘忄’으로 그 모양이 바뀐다. 또 ‘恭’의 아랫 부분에 있는 ‘㣺’(심방변; 竪心底)도 ‘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思想’, ‘情感’, ‘恭敬’처럼 ‘心’이 의미요소인 글자는 모두 정신, 심리, 마음과 관련이 있다.
- 怒(성낼 노; nù)
- 怨(원망할 원; yuàn)
- 怪(기이할 괴; guài)
- 恨(한할 한; hèn)
- 悅(기쁠 열; yuè)
10. 頁 : 머리 혈; 頁字旁
‘頁’의 本義는 ‘머리’이다. 갑골문을 보면, ‘頁’은 사람의 형상에서 머리와 눈을 강조하고 있다. 의미요소가 ‘頁’인 글자는 ‘얼굴’과 관련이 있다.
- 顔(얼굴 안; yán)
- 額(이마 액; é)
- 頸(목 경; jǐng)
11. 口 : 입 구; 口字旁
‘口’(입구변)은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口’가 글자들은 입과 관련이 있는 부위, 동작, 발음을 나타낸다
- 呼(부를 호; hū)
- 吸(숨 들이쉴 흡; xī)
- 含(머금을 함; hán)
- 味(맛 미; wèi)
- 唱(노래 창; chàng)
12. 舌 : 혀설변; 舌字旁
입(口)에서 내민 혀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舌’인 글자들은 대부분 ‘혀’와 관련이 있다.
- 甛(달 첨; tián)
- 舐(핥을 지; shì)
13. 言 : 말씀언변(yán); 言字旁
의미요소인 ‘言’은 갑골문에 입에서 혀를 내민 모양으로 묘사되어 있다. ‘言’이 의미요소인 글자는 언어 행위를 나타내거나 문학‧도덕과 관련이 있다.
- 信(믿을 신; xìn)
- 語(말씀 어; yǔ)
14. 欠 : 하품 흠(qiàn); 欠字旁
‘欠’의 갑골문 자형은 한 사람이 꿇어앉아 입을 벌리고 하품을 하는 모습으로, 본의는 ‘하품하다’이다. 의미요소가 ‘欠’이 글자들은 대부분 입에서 무언인가 나오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 歌(노래 가; gē)
- 吹(불 취; chuī)
15. 目 : 눈 목변; 目字旁(底)
한쪽 눈을 그린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目’인 글자는 대부분 ‘눈’이나 눈과 관련된 동작과 연관이 있다.
- 盲(소경 맹; máng)
- 相(서로 상; xiāng, xiàng): 木과 目의 회의자, 눈으로 나무의 모양을 자세히 살피다는 뜻임.
- 看(볼 간; kàn, kān)
16. 見 : 볼 견변; 見字旁
사람이 눈을 크게 뜨고 앞을 바라보는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見’인 글자들은 대부분 눈빛이나 보다 등의 눈과 관련이 있는 동작과 연관이 있다.
- 觀(볼 관; guān, guàn)
- 覽(볼 람; lǎn)
- 視(볼 시; shì)
- 覺(깨달을 각; jué, jiào)
(3) 사지, 그 동작과 관련이 있는 부수
17. 手/扌 : 재방변(才와 자형이 같다는 뜻); 提手旁
손의 모양을 본뜬 ‘手’의 변형체인 의미요소가 ‘扌’인 글자는 대부분 손과 관련이 있다.
- 指(손가락 지; zhǐ)
- 探(찾을 탐; tàn)
- 擊(부딪칠 격; jī)
- 把(잡을 파; bǎ, bà)
- 握(쥘 악; wò)
- 掌(손바닥 장; zhǎng)
18. 又 : 또 우; 又字旁
옛날 글자체를 보면 오른손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又’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이나 손동작과 관련이 있다.
- 及(미칠 급; jí): 人과 又의 회의자
- 双(쌍 쌍; shuāng)(=雙: 손 위의 새 두 마리)
19. 寸 : 마디 촌; 寸字底
손의 1촌 되는 지점의 맥 짚는 곳을 횡선으로 표시한 글자 형태이다. 의미요소가 ‘寸’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이나 손과 관련이 있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 奪(빼앗을 탈; duó)
- 射(궁술 사; shè)
- 尊(높을 존; zūn): 酉와 廾의 회의자인데 글자체가 바뀌었음
20. 廾 : 밑스물십(들 공, gŏng); 弄字底兒
‘廾’은 두 손으로 무엇인가를 받들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廾’인 글자들은 대부분 ‘拱’(gŏng), ‘捧’(pěng), ‘抬(tái)’의 동작과 관련이 있다.
- 弄(희롱할 농; nòng, lòng): 두 손에 玉을 들고 즐기는 모양
- 兵(군사 병; bīng): 손에 斤을 들고 있는 모양
21. 爪/爫 : 손톱 조; 爪zhǎo字頭
《설문해자》에서는 “손을 뒤집은 것이 爪이다”라고 설명하였다. 자형은 물건을 움켜 쥐려는 손을 단지 손가락 세 개만으로 나타내었다. 손의 모양은 ‘爲(할 위)’, ‘妥(편안할 타)’, ‘爬(끍을 파)’ 등의 글자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의미요소가 ‘爪’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동작과 연관이 있다.
- 采(캘 채; cǎi, cài)
- 爰(이에 원; yuán): 구조하다(막대기를 양쪽에서 손으로 잡고 있는 모양. =援)
- 受(받을 수; shòu): 접시를 건네줌
22. 攴/攵 : 둥글월 문(칠 복; pū) ; 反文旁/反文兒
‘攴’은 ‘攵’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손에 몽둥이를 든 형태이다. ‘攴’이 의미요소인 글자들은 손으로 치는 동작, 공격하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 敝(해질 폐; bì́)
- 敎(가르침 교; jiào, jiāo)
- 攻(칠 공; gōng)
- 改(고칠 개; gǎi): 攴와 己의 회의자
23. 殳 : 갖은 둥글월문(칠 수, shū); 殳字邊
‘殳’는 고대에 쓰던 손잡이가 긴 병기이다. 의미요소로 쓰인 ‘殳’는 손에 몽둥이를 든 형태로 많이 쓰이므로 의미요소가 ‘殳’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에 물건을 들고 때리거나 공격하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또한 ‘殳’는 ‘股’(넓적다리 고)‧‘投’(던질 투)처럼 聲符로 쓰이기도 한다.
- 殺(죽일 살; shā)
- 毆(때릴 구; ōu): 毆打(구타)
24. 止 : 그칠 지변; 止字旁
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止’인 글자들은 대부분 발이나 발과 유관한 동작과 관련이 있다.
- 之(갈 지; zhī): 止와 一의 회의자
- 步(걸음 보; bù): 왼발과 오른발을 합친 글자
- 徒(무리 도; tú): 辵과 土의 형성자. 걷다
25. 辶 : 책받침변(chuò); 走之兒/走字旁
‘辵’(쉬엄쉬엄 갈 착; chuò)의 변형체인 ‘辶’은 허벅다리를 의미하는 ‘彳’과 발을 의미하는 ‘止’로 이루어진 글자로, ‘辶’를 의미요소로 하는 글자들은 대부분 다리나 걷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 過(지날 과; guò, guō, guo)
- 遠(멀 원; yuǎn)
- 近(가까울 근; jìn)
26. 足 : 발 족; 足字旁
갑골문의 ‘足’자와 ‘正’자는 자형이 똑같다. 이 이외에 동일한 또 하나의 자형이 있는데, 정강이를 상형하고 아래에 발을 붙인 모양으로 楷書(해서)에서는 ‘疋’(발 소)(匹의 이체자가 아님)라고 쓴다. 의미요소가 ‘足’인 글자들은 ‘발’과 관련이 있는 동작이나 사물을 나타낸다.
- 跟(발꿈치 근; gēn)
- 路(길 로; lù)
- 踏(밟을 답; tà, tā): 踏査(답사)
27. 走 : 달아날 주; 走字底(旁)
‘大’와 ‘止’로 구성된 회의자이다. 사람이 두 팔을 흔들며 달린다는 뜻이다. 의미요소가 ‘走’인 글자들은 대부분 달리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 超(넘을 초; chāo)
- 越(넘을 월; yuè)
(4) 질병, 귀신, 죽음과 관련이 있는 부수
28. 疒 : 병질 안; 病字頭
의미요소인 ‘疒’은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爿’(나무조각 장; qiáng, pán)과 ‘人’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임을 알 수 있다. 즉 사람이 병상에 누워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따라서 의미요소가 ‘疒’인 글자들은 대부분 질병과 관련이 있다.
- 病(병 병; bìng)
- 疾(병 질; jí)
- 癢(가려울 양; yǎng)
29. 示(礻) : 보일 시변; 示字旁/示補兒
제단을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示’인 글자들은 대부분 귀신, 제사, 종교, 미신등과 관련이 있다.
- 福(복 복; fú): ‘示’와 ‘酉’의 회의자
- 祭(제사 제; jì)
- 社(토지의 신 사; shè)
30. 鬼 : 귀신 귀변; 鬼字旁
아래부분은 사람 모양이고 윗부분은 기괴하게 생긴 머리를 그려 귀신을 나타낸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鬼’인 글자들은 대부분 ‘영혼’, ‘귀신’과 관련이 있다.
- 魅(도깨비 매; mèi): 魅力
- 魂(넋 혼; hún): ‘鬼’와 ‘云’의 형성자
- 魄(넋 백; ; pò): 魂魄
31. 尸 : 주검 시; 尸字頭
본래의 의미는 ‘고대에 제사지낼 때 죽은 자를 대신해 제사를 받는 사람’이다. 자형은 앉아 있는 사람의 옆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인신되어 ‘시체’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이 경우 후에 주로 ‘屍(시체 시; shī)’자로 썼다. 의미요소가 ‘尸’인 글자들은 ‘尾,’(꼬리 미; wěi)처럼 인체와 관련이 있거나 ‘屋̄’(집 옥; wu)처럼 집과 관련이 있다.
- 尿(오줌 뇨; niào)
- 屛(울 병; píng)
- 居(살 거; jū)
32. 歹/歺 : 죽을 사변(부서진 뼈 알, dǎi/è); 歹字旁
살을 발라내고 남은 뼈를 말한다. 의미요소가 ‘歹’인 글자들은 대부분 죽음, 喪事, 나쁜 일과 관련이 있다.
- 死(죽을 사; sǐ): 死亡. ‘歺’과 ‘人’의 회의자
- 殃(재앙 앙; yāng): 災殃
- 殆(위태할 태; dài): 危殆
- 殘(해칠 잔; cán): 殘惡
- 殯(염할 빈; bìn): 殯所
(5) 천문, 기상과 관련이 있는 부수
33. 日 : 날 일변; 日字旁[底]
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日’인 글자들은 대부분 태양, 빛, 시간, 건조와 연관이 있다.
- 旦(아침 단; dàn)
- 明(밝을 명; míng)
- 暗(어두울 암; àn)
- 晩(저물 만; wǎn)
- 暮(저물 모; mù)
- 時(때 시; shí)
- 昃(기울 측; zè)
34. 月 : 달 월변; 月字旁
굽은 초승달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月’인 글자들은 대부분 달, 저녁, 빛, 시간과 연관이 있다. 달월변인 ‘月’과 고기육변인 ‘月’(肉)을 잘 구분해야 한다.
- 朔(초하루 삭; shuò)
- 朗(밝을 랑; lǎng): 달이 차면 밝다
35. 風 : 바람 풍변; 風字旁
‘虫’이 의미요소, ‘凡’이 발음요소인 형성자이다. 봄바람이 冬眠을 한 모든 생물을 깨운다는 뜻이다. 의미요소가 ‘風’인 글자는 대부분 ‘바람’와 관련이 있다.
- 飄(회오리바람 표; piāo)
- 颱(태풍 태; tái): 颱風
36. 气 : 기운 기밑; 气字頭
갑골문의 형태에 의거하여 구름의 기운을 상형한 글자라고 설명하기도 하고, 공중의 기류를 나타낸 상형자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의미요소가 ‘气’인 글자들은 대부분 기체와 연관이 있다.
- 氣(기운 기; qì): 氣運
- 氛(기운 분; fēn): 氣分
- 氫(수소 경; qīng): 氫彈(qīngdàn; 수소폭탄)
- 氧(산소 양; yǎng): 二氧化碳(èryǎng huàtàn: 이산화탄소)
37. 雨 : 비 우; 雨字頭
하늘에서 비가 내리는 모습을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雨’인 글자들은 대부분 ‘날씨’, ‘기상’과 관련이 있다.
- 霜(서리 상; shuāng)
- 電(번개 전; diàn)
- 雲(구름 운; yún)
38. 夕 : 저녁 석; 夕字旁
반달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夕’인 글자들은 대부분 저녁이나 저녁과 관련된 동작과 관련이 있다.
- 名(이름 명; míng): 저녁에 사람의 얼굴을 확인할 수 없어 이름을 부를 수밖에 없음.
- 夢(꿈 몽; mèng)
(6) 지형, 광물과 관련이 있는 부수
39. 土 : 흙 토; 提土旁/剔(tī)土旁
흙덩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土’인 글자들은 대부분 흙이나 땅과 관련이 있다.
- 地(땅 지; dì): 地球
- 坤(땅 곤; kūn)
- 城(성 성; chéng): 城郭
- 培(북돋울 배; péi): 培養
40. 山 : 뫼 산; 山字頭
의미요소가 ‘山’인 글자들은 산이나 언덕과 관련있는 명칭에 쓰인다.
- 峰(봉우리 봉; fēng)
- 岳(큰 산 악; yuè)
- 岸(언덕 안; àn)
- 崇(높을 숭; chóng): 崇尙
- 嶺(재 령; lǐng)
41. 厂 : 민엄호; 偏厂(chăng)兒
산의 낭떠러지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厂’인 글자들은 대부분 산, 바위, 낭떠러지와 관련이 있다.
- 原(근원 원; yuán): ‘厂’과 ‘泉’의 회의자
42. 石 : 돌석변; 石字旁(底)
낭떠러지(厂) 밑에 돌(口)이 있는 모습이다. 의미요소가 ‘石’인 글자는 대부분 ‘돌’과 관련이 있다.
- 硏(갈 연; yán)
- 破(깨뜨릴 파; pò)
- 砍(벨 감; kǎn)
43. 阜, 阝(左): 좌부방, 언덕 부변(fù); 左耳旁
의미요소인 ‘阝’는 본래 ‘阜’이다. ‘阜’는 본래 연이어 있는 산 세 개를 옆으로 세운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阜’인 글자들은 대부분 山이나 구릉, 특징이 있는 지세나 지형을 가지고 있는 지명과 관련이 있다.
- 陵(큰 언덕 릉; líng)
- 階(섬돌 계; jiē): 階段
- 鄭(나라 이름 정; zhèng)
44. 邑, ⻏(右) : 우부방, 고을 읍(yì); 右耳呆兒
갑골문에 의거하면 ‘邑’의 본의는 ‘사람이 모여 사는 곳’이다. 글자 윗부분의 네모난 것은 區域을 나타내고, 아래 부분은 땅에 앉아 있는 사람으로, ‘거주함’을 뜻한다. 의미가 확대되어 지역명이나 도시 등의 의미가 생겨났다. 따라서 의미요소가 阝(邑)인 글자들은 대부분 국가, 도시, 지역과 관련이 있다.
- 邦(나라 방; bāng)
- 郊(성 밖 교; jiāo)
- 都(도읍 도; dū, dōu): 都市
- 鄧(나라 이름 등; dèng)
45. 穴 : 구멍혈밑(xuè); 穴寶蓋兒
‘穴’은 옛날 사람들이 穴居하던 동굴을 나타내는데, 후에 모든 구멍을 지칭하게 되었다. 의미요소가 ‘穴’인 글자들은 대부분 ‘구멍’, ‘집’과 관련이 있다.
- 空(빌 공; kōng, kòng)
- 窗(창 창; cōng)
- 窮(다할 궁; qióng)
- 究(궁구할 구; jiū): 窮究
- 穿(뚫을 천; chuān): 穿鑿(천착)
46. 田 : 밭전변; 田字底(旁)
조각조각의 밭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田’인 글자는 대부분 ‘밭’이나 농사와 관련이 있다.
- 界(지경 계; jiè)
- 畿(경기 기; jī)
47. 鹵 : 소금밭 로변; 鹵lǔ字旁
金文을 보면 밭에 소금 입자가 많이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鹵’인 글자들은 대부분 ‘소금’이나 ‘짜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 鹽(소금 염; yán)
- 鹹(짤 함, xián)
48. 金 : 쇠 금변; 金字旁
金文을 보면, ‘金’은 ‘土’와 점 4개(흙에 포함되어 있는 광석)로 이루어졌으며, 발음요소로 ‘今’도 포함되어 있다. 의미요소인 ‘金’은 금속류를 지칭한다. 철기 시대 이전에 만들어진 한자에 보이는 ‘金’은 청동기이다.
- 銀(은 은; yín)
- 銅(구리 동; tóng)
- 鐵(쇠 철; tiě)
49. 玉/王 : 구슬 옥변; 斜玉旁/王字旁
글자의 형태를 보면 ‘王’자이지만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요소는 사실상 ‘玉’자이다. ‘王’字가 포함되어 있는 많은 글자들은 대부분 이처럼 ‘玉’의 의미와 관련이 있다. 의미요소가 ‘玉’인 글자들은 대부분 옥의 종류를 나타낸다.
‘王’자의 최초의 자형은 큰 도끼의 모양으로, 윗 부분은 도끼자루이고, 아랫부분은 넓은 날이다. 이것은 바로 실력과 권위의 상징이다. 그러므로 고대의 최고 통치자를 ‘王’이라고 부른다.
- 珊(산호 산; shān)
- 瑚(산호 호; hú): 珊瑚
- 球(공 구; qiú)
- 理(다스릴, 옥을 갈 리; lǐ)
50. 里 : 마을 리변; 里字旁
‘田’과 ‘土’의 회의자로, 거주하는 장소를 농지가 둘러싸고 있다는 뜻으로 거주지를 의미한다. 의미요소가 ‘里’인 글자들은 대부분 논밭과 관련이 있다.
- 野(들 야; yě): ‘里’와 ‘予’의 형성자
51. 行 : 다닐 행변; 行字框
갑골문을 보면 사거리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行’인 글자들은 대부분 ‘도로‧거리’와 관련이 있다.
- 街(거리 가; jiē)
- 衝(찌를 충, 목 충; chōng, chòng): 要衝地
- 術(꾀, 길 술; shù)
52. 水/氺/氵 : 삼수변/아래물 수; 三點水(氵)
의미요소가 ‘水’의 변형체인 ‘氵’(삼수변; 三點水)인 글자들은 강이나 하천의 이름을 나타내거나 물과 관련이 있는 사물이나 동작을 나타낸다.
- 江(강 강; jiāng): 長江(양자강)
- 河(강이름 하; hé): 黃河
- 沒(가라앉을 몰; méi, mò): 沈沒
53. 冫 : 이수변(음 빙, bīng) ; 兩點水
고문의 모양은 모두 얼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후에는 ‘冰’으로 쓰이게 되자 원래의 글자는 편방으로 쓰였으며, 후에 ‘冫’으로 그 형태가 변했다. ‘冫’이 의미요소로 쓰인 글자(冬, 冷, 凍, 寒)는 대부분 얼음이나 추위와 관련이 있다.
- 冬(겨울 동; dōng)
54. 火(火字旁), 灬(四點底) : 불 화변
‘火’는 불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火’(불화변; 火字旁)인 글자들은 ‘불’과 관련이 있는 사물, 성질, 동작 등을 나타낸다. ‘火’자가 ‘然’, ‘烈’, ‘熱’, ‘照’처럼 ‘灬’(四點底)로 쓰이기도 한다.
- 炎(불탈 염; y ́n)
- 灰(재 회; huī)
- 炭(숯 탄; t ̀n)
- 煙(연기 연; yān): 煙氣
(7) 농업, 식물과 관련이 있는 부수
55. 木 : 나무 목변; 木字旁
‘梅’, ‘松’, ‘梧桐’처럼 ‘木’이 의미요소인 글자는 모두 나무와 관련이 있다.
- 本(밑 본; běn)
- 末(끝 말; mò)
- 果(실과 과; guǒ)
- 朿(가시 자; cì)
- 束(묶을 속; shù)
- 析(가를 석; xī)
- 折(꺾을 절; zhé)
- 林(수풀 림; lín)
- 森(나무 빽빽할 삼; sēn)
- 休(쉴 휴; xiū)
56. 禾 : 벼 화변(hé); 禾字旁
이미 이삭이 익어 고개를 숙인 한 포기 농작물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禾’인 글자들은 ‘穀食’, ‘種子’와 같이 곡식과 관련이 있다.
- 年(해 년; nián): 갑골문을 보면 사람(人)이 벼(禾)를 등에 이고 있는 모양을 그렸음.
- 秉(잡을 병; bǐng): 손(⺕)으로 벼(禾)를 잡고 있는 모양을 상형
- 兼(겸할 겸; jiān): 손(⺕) 두 개가 벼(禾) 두 개를 동시에 잡고 있는 모양을 상형
- 種(씨 종; zhǒng, zhòng)
57. 竹 : 대 죽변; 竹字頭
대나무 두 그루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竹’인 글자들은 대부분 대나무나 죽제품과 관련이 있다.
- 節(마디 절; jié, jiē)
- 筆(붓 필; bǐ)
58. 米 : 쌀 미변; 米字旁(頭)
‘米’는 곡식의 낱알을 본뜬 상형자인데, 두 가지 해설이 있다. 첫째는 이삭에 붙어 있는 낱알을 본뜬 것이다는 설이고, 둘째는 쌀통 안에 있는 쌀을 본뜬 글자라는 설이다. 의미요소가 ‘米’인 글자들은 대부분 곡식류와 관련이 있다.
- 糟(지게미 조; zāo): 술을 거른 찌끼
- 糠(겨 강; kāng): 미곡의 껍질(糟糠之妻)
- 粉(가루 분; fěn): 粉末
59. 香 : 향기 향변; 香字旁
‘黍’(기장 서; shǔ)와 ‘甘’의 회의자이다. 의미요소가 ‘香’인 글자들은 대부분 ‘향기’와 관련이 있다.
- 馨(향기 형; xìn)
- 馥(향기 복; fù)
60. 瓜 : 오이 과변; 瓜guā字旁
오이가 달린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瓜’인 글자들은 대부분 박 종류나 오이와 관련이 있다.
- 瓢(박 표; piáo)
- 瓠(표주박 호, hù)
61. 艸(艹, 艹) : 초두, 草字頭/草頭兒
‘艸’는 풀(屮: 싹날 철; chè) 두 송이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艸’의 변형체인 ‘艹’인 글자들은 대부분 풀이나 식물과 관련이 있다.
- 芳(꽃다울 방; fāng)
- 苟(진실로 구; gǒu): 艸이 의미요소, 句가 발음요소이며, 원래는 풀이름임)
62. 生 : 날 생변; 生字旁
땅 위에 연한 싹이 자라나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生’인 글자들은 대부분 ‘增進’과 관련이 있다.
- 産(낳을 산; ⽣chǎn): 生産
- 隆(성향 륭; lóng, lōng); 生이 의미요소임(隆起)
(8) 동물과 관련이 있는 부수
63. 毛 : 터럭 모; 毛字底
수염이나 머리털, 동물의 털을 본뜬 상형자이다. 즉 털이 수북하게 자란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毛’인 글자들은 대부분 머리카락, 수염, 동물의 털과 연관이 있다.
- 毫(가는 털 호; háo)
- 毯(담요 담; tǎn): 毯子tǎnzi
64. 羽 : 깃 우변; 羽字頭(底)
깃털 두 개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羽’인 글자들은 대부분 새이름, 깃털, 새가 나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 習(익힐 습; xí): 새가 날개짓하는 것을 익히다
- 翼(날개 익; yì)
- 翻(날 번; fān)
65. 牛 : 소 우변; 牛字旁
소의 머리부분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牛’인 글자들은 대부분 소 등의 가축과 연관이 있다.
- 牡(수컷 모; mŭ)
- 牝(암컷 빈; pìn)
- 物(만물 물; wù): 원래 의미는 여러 색깔의 털을 가진 소(雜色牛)임
- 解(풀 해; jiě, jiè, xiè): 소(牛)의 뿔(角)을 칼(刀)로 도려내는 모양을 그린 회의자임.
66. 羊 : 양 양변; 羊字頭/斜羊頭(旁)
정면에서 본 양의 머리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羊’인 글자들은 대부분 ‘양’과 관련이 있으며 좋은 의미로 많이 쓰인다.
- 羚(영양 령; líng)
- 美(아름다울 미; měi): ≪說文解字≫에는 羊과 大의 회의자라고 하였지만, 갑골문을 보면 사람의 아름다운 머리 장식을 그렸음)
- 善(착할 선; shàn): 金文을 보면 양의 머리를 상형한 글자임.
67. 馬 : 말 마변; 馬字旁
말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馬’인 글자들은 모두 말처럼 생긴 동물이나 말과 관련이 있는 사물이나 동작을 나타낸다.
- 駿(준마 준; jùn): 駿馬
- 驚(놀랄 경; jīng)
- 駕(멍에 가; jià)
68. 豕 : 돼지 시변; 豕shĭ字旁
돼지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豕’인 글자들은 대부분 돼지와 관련이 있다.
- 豚(돼지 돈; tún)
- 豪(호걸 호; háo) 원래 털이 긴 돼지를 뜻함
69. 犬/犭 : 개 견(quăn); 反犬旁/犬猶兒
세로로 서있는 개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犬’인 글자들은 대부분 개과류의 동물나 그것의 속성과 관련이 있다.
- 狐(여우 호; hú)
- 狗(개 구; gǒu)
- 狡(교활할 교; jiǎo)
- 猾(교활할 활; huá): 狡猾
70. 虫 : 벌레 충변; 虫字旁
뱀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원래 ‘虫’은 ‘훼, huĭ’로 ‘蟲’과 음이 다르다. 의미요소가 ‘虫’인 글자들은 대부분 곤충이나 뱀과 관련이 있다.
- 虹(무지개 홍; hóng): 옛사람들은 무지개가 용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했음
- 蚤(벼룩 조; zǎo)
71. 鳥 : 새 조변; 鳥字旁
새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인 ‘鳥’인 글자들은 대부분 ‘새’의 종류나 ‘새’와 관련된 동작을 나타낸다.
- 鳳(봉새 봉; fèng)
- 鴛(원앙 원; yuān)
- 鴦(원앙 앙; yāng): 鴛鴦
- 鶴(학 학; hè)
72. 隹 : 새 추; 隹zhuī字頭(底)
새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隹’인 글자들은 대부분 ‘새’와 관련이 있다.
- 雀(참새 작; què, qiāo, qiǎo): ≪說文解字≫에 小와 隹의 회의자로 '작은 색'를 의미한다고 하였음(孔雀)
- 集(모일 집; jí)
73. 魚 : 고기 어변; 魚字旁
물고기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魚’는 글자들은 ‘魚類’와 관련이 있다.
- 鯉(잉어 리; lǐ)
- 鯨(고래 경; jīng)
- 鱗(비늘 린; lín)
74. 貝 : 조개 패변; 貝字旁
조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貝’인 글자들은 대부분 ‘돈’이나 ‘재물’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본의가 ‘조개’인 ‘貝’자가 후에 조개가 화폐로 쓰였기 때문이다.
- 財(재물 재; cái)
- 貢(바칠 공; gòng):
- 貧(가난할 빈; pín)
- 貪(탐할 탐; tān)
- 貨(재화 화; huò)
- 買(살 매; mǎi)
- 貰(세낼 세; shì)
-, 賤(천할 천; jiàn)
- 寶(보배 보; bǎo): 宀(mián), 玉, 貝가 의미요소이고, 缶(장군부, fǒu)가 소리요소임
75. 鹿 : 사슴 록; 鹿字頭
뿔을 강조하면서 사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鹿’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슴’과 관련이 있다.
- 麗(고울 려: lì, lí): 사슴의 뿔을 강조함
- 麋(큰사슴 미; mí)
76. 豸 : 갖은돼지 시변(음 치); 豸zhì字旁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입이 크고 몸이 긴 맹수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豸’인 글자들은 대부분 ‘들짐승’과 관련이 있다.
- 豹(표범 표; bào)
'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成年人不见面的关系,维持不了多久 (0) | 2025.03.07 |
---|---|
무역실무 용어 해설과 예문 (0) | 2025.03.06 |
现在网上有一个很可怕的现象,就是总有人在制造男女对立 (0) | 2025.03.05 |
老了以后才知道的50条人生经验 (0) | 2025.03.05 |
真正的亲密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