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ohsi

陕西话和西安话 본문

어학

陕西话和西安话

Poohsi&Company 2025. 4. 21. 01:20

 

섬서화, 서안화

陕西话和西安话

 

중국의 역사적 고도

북경과 상해와의 거리가 같은 역사와 문화의 중심지

진시황제의 무덤이 있는 북방 관화의 대표적인 지방이라 하기엔 너무나 다른...

서융인으로 부터 유입된 외래어의 양도 많은...표기안되는 구어가 많다고...!

섬서화는 산서화와 비슷한 점이 많은데 초성음 'ng'의 옛이응(꼭지이응)이 남아 있고

종성음 'ng'와 'n의 구분이 없다. 보통화 t 를 q로、j 를 z로、d 를 j로、y를 n으로 읽는다.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위치하는 것도 특이할 만하다(이것은 어계를 나누는 중요한

특징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我 nge / 爱 ngai / 俺, 安 ngan 으로 읽는다.

 

“很” - “的太太” / “的太” “很”

 

예를 들면, 今天很热。을 섬서화로 “今儿热的太太”。 또는 “热的很”。

 

 

1. 制达 [zhi da] 여기 [这里]

2. 雾达 [wu da] 저기 [那里]

3. 啊达 [a da] 어디 [哪里] 一般回答用:WER

4. 啊四 [a si] 어느 곳 [哪?哪个是?] 一般回答用:握四

5. 野个 [ye ge] 어제 [昨天]

6. 前个 [qin ge] 그제 [前天]

7. 后个 [hou ge] 모래 [后天]

8. 明个 [ming ge] 내일 [明天]

9. 年四个 [si nin ge] 작년 [去年] [ex : 年四个你最忒的记忆是啥么?]

10. 蹭 대단하다 [厉害]

11. 碟 [die ] 밥먹다 때리다 [吃饭、打人]

12. 四火 [si huo] 해보다 [试一试]

13. 南常 어렵다 곤란하다 [困难,不容易办的]

14. 谝 [pian] 이야기하다 말하다 [聊天,说话]

15. 扎式 거드름 피우다 뽐내다 [摆架子,打肿脸充胖子]

16. 花搅 농담하다 장난하다 웃기다 [开玩笑、恶作剧、取笑]

17. 产活 좋다, 편안하다 [好,舒服]

18. 木乱 좋지 않다, 불편하다 [不舒服、不适,思绪烦乱]

19. 骚青 — 热情过分,讨好献媚之嫌

20. 罢列 일반적인 [一般,还行、过得去]

21. 马卡[ma ke ] 형편없다 뒤떨어지다 [差劲]

22. 幕囊 — 行动迟缓、浪费时间的行为

23. 细香、戏法 섬세하다 세밀하다 [细致、仔细]

24. 了杂列 아주 좋다, 아름답다 [很好,很美]

25. 日脏 지저분하다 [邋遢、不整洁、不干净]

26. 打圆 부근 주위 [周围、附近]

27. 麻达[ma da] 편하지 않다. 문제가 있다. [麻烦、问题]

28. 麻米儿[ma guang er] 억지를 쓰다 이치에 맞지 않다 [不讲理、不明事理]

29. 瓷马二楞 영리하지 않다 [不机灵,迟钝]

30. 克里马擦 서두르다 [快点,英文:hurry up]

31. 逼列 — 完蛋了,指事态无可挽回。

32. 噶达马西一和滩—乱七八糟一大堆

33. 列远 한쪽으로 가다 비키다 [一边去]

34. 都成送列 — 都成什么样了啊?

35. ….成马列 — 程度形容词,例如快成马列,漂亮成马列

36. 饿贼 — 不太文明的用语,表示很惊讶的感叹。

37. 忒 아주 좋다. 대단하다 [很好,很棒] *오어에도 사용되는 어휘

38. 饿 [e4] 1인칭대명사 [人称代词 : 我]

你[ni4] 2인칭대명사[人称代词 : 你]

他[ta4] 3인칭대명사[人称代词 : 他]

39. nia 다른 사람 [人家]

40. 再 배제대명사 우리 [咱们]

41. 伙计 특별한 친구, 좋은 친구 [一般制朋友、哥们、女孩子的男朋友]

42. 咧 [lie] 어기조사 ‘了’ ‘啦’'哩’에 해당

43. 寺 [shi] ~이다[是]

44. 社 [she] 말하다 [说]

45. 包 [bao ] 부정사 不 [例如:“你包社列” = "你别说了”]

46. 活试 합당하다 편안하다 사이가 좋다 [合适,满意]

47. 建议 在西安女孩子不要说“锤子”二字,西安人都明白

48. 一案子起 한쪽으로 가다 [一边去]

49. 糟怪 거짓말하다 [撒谎]

50. 能CHUA—CHUA 처리 할 수 있느냐? “能”意思就是“能干什么”形容某人无能办事不力

 

 

 

陕西话 (섬서화)에는 4개의 성조만 있지만, 普通话 (푸통화) 성조와는 매우 뚜렷한 대응 관계가 있다. 대부분의 글자 발음은 성조 표에 맞게 일치한다. 이하, 西安话 (시안화)를 예시로 들자면:

일반적인 대응 관계에 맞지 않는 것은 주로 청성모 (清声母, qīng shēngmǔ)와 차탁 성모 (次浊声母, cì zhuó shēngmǔ)의 입성(入声) 글자들이다. 普通话 (푸통화)는 청입성 글자를 불규칙하게 음평 (阴平, yīnpíng), 양평 (阳平, yángpíng), 상성 (上声, shàngshēng), 거성 (去声, qùshēng) 네 성조에 분류하는 반면, 关中话 (관중화)는 청입성 및 차탁 입성 글자를 음평 (阴平, yīnpíng)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청입성 (清入声) 글자인 “八(bā), 福(fú), 笔(bǐ), 各(gè)”와 차탁 입성 (次浊入声) 글자인 “麦(mài), 月(yuè)” 등이다.

 

乡党 (향당)

(향)과 (당)은 중국 고대 민호 체계에서 나온 용어다. 《汉书》 (한서)라는 중국 최초의 연대기 역사서에 의하면, "오 집을 이웃으로, 오 이웃을 리(里)로, 네 리를 족(族)으로, 오 족을 당(党)으로, 오 당을 주(州)로, 오 주를 향(乡)으로" 정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해, 오백 가구는 당(党)을 이루고, 만이천오백 가구는 향(乡)을 이룬다. “향당”이라는 용어는 원래의 행정 구역에서 유래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용어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屋里人" (옥리인) 

关中 (관중) 지역 사람들은 결혼한 여성을 “屋里人” (옥리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너의 屋里人 (옥리인)은 요즘 왜 안 보이냐?” 또는 “내 屋里人 (옥리인)은 요즘 친정에 가 있었어!”라는 식으로 사용한다. “屋里人” (옥리인)을 부르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것이 노동 분업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예전 농가에서는 남성들이 밖에서 일을 하고 여성들은 집안에서 실을 잣고 천을 짜는 일들을 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서 남자는 “바깥사람” (外头人, wàitóu rén)이라고 불리고, 여자는 “집사람” (屋里人, wū lǐ rén)이라고 불리는 전통이 생겨난 것이다.

 

"二百五" (이백오) 

“二百五” (이백오)는 关中 (관중) 지역에서 덤벙대고 엉뚱한 사람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그 의미는 숫자 '2백 5'로, 사람이 어떻게 숫자로 불릴 수 있냐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두 가지 해석이 있다. 첫 번째는 牌九 (파이주)라는 도박에서 유래한 것이다. 牌九 (파이주)에는 二板 (이반, sì gè diǎn)과 么五 (모오, liù gè diǎn)라는 두 가지 카드가 있다. 이 두 카드의 조합은 10점으로, 牌九 (파이주)에서 가장 작은 점수로 취급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카드를 사용하여 덤벙대고 결과를 고려하지 않은 사람들을 “二百五”(이백오)라고 비유하게 되었다. 두 번째 해석은 二百五 (이백오)가 한 역사적 사건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战国时期 (전국시기) 苏秦 (소진)은 여러 나라의 대사로 유명했는데, 그의 죽음을 알게 된 齐王 (제왕)은 복수를 다짐했다. 하지만 살인범을 잡지 못한 제왕은 금전적인 보상을 제시하며 범인을 찾으려 했다. 이에 여러 사람이 범인을 자처하게 되었고, 그 중 네 명은 모두 “二百五” (이백오)라고 자칭하며 금을 받기 위해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했다. 결국 제왕은 이 네 사람을 “二百五” (이백오)라고 부르며 처벌했다고 한다. 이 사건에서 “二百五” (이백오)라는 표현이 유래했다.


주요용어와 개념

  • 陕西话 (섬서화): 섬서성의 방언
  • 普通话 (푸통화): 표준 중국어
  • 西安话 (시안화): 시안의 방언
  • 清声母 (qīng shēngmǔ): 청성모 (무성 자음)
  • 次浊声母 (cì zhuó shēngmǔ): 차이탁 성모 (약간 유성 자음)
  • 入声 (rù shēng): 입성 (중국어 고대 발음)
  • 关中话 (Guānzhōng huà): 관중 지방의 방언
  • 乡党 (xiāng dǎng): 동네 사람, 동향 사람
  • 屋里人 (wū lǐ rén): 집안의 사람 (주로 결혼한 여성)
  • 二百五 (èr bǎi wǔ): 바보, 엉뚱한 사람 (원래 도박에서 유래)

📌 간단 비교: 陕西话 / 西安话 vs 南通话


 

방언계열 관화 방언 (북방 방언) 오어(吴语) 방언
주요 지역 섬서성 전역, 특히 서안 장쑤성 남통시 일대
성조 보통화와 유사한 4성 사용 7~8성 (평상거입 등 고대성조 보존)
음운 특징 - 초성 ‘ng’ 보존
- 종성 ‘n/ng’ 구별 안 됨
- ‘t’ → ‘q’, ‘j’ → ‘z’ 등 변화
- 성조 높낮이 변화 적음
- 자음군 존재
- 鼻音/묵음 종성 보존
- 성조 다양함, 억양 강함
문법 특징 - 수식어가 뒤에 옴 (예: 热的很)
- 피수식어 중심
- 조동사, 어기조사 다양
- 문장 구조 보통화와 차이 큼
- 동사 앞뒤 위치 변경 자주
- 어순 유연
대표 단어 哩(了), 的太太(很), 碟(먹다), 谝(말하다), 忒(대단히) 
특유의 감탄 표현 많음
阿拉(我), 侬(너), 切(먹다), 勿(아니다), 勒(在) 등 상해와 유사
의사소통 난이도 보통화 사용자에게 중간 난이도
(단어/어순 생소)
보통화 사용자에게 매우 높은 난이도
(상해화와 거의 유사)
보통화와의 거리 어휘는 많이 다르지만 구조/억양은 가까움 어휘, 억양, 어순 모두 크게 다름

🗣 예문 비교 (의역: “오늘 너무 덥다”)


 

보통화 今天很热。
陕西话 今儿热的太太 / 热的很
남통화 今朝忒热勒!(jin zhao tek reh le) (상해화랑 유사)

💬 재미있는 표현 비교

의미陕西话/西安话남통화 (비슷한 뜻)

 

饿(e4) 阿拉(a la)
你(ni4) 侬(nong)
말하다 社(she) 讲(jiang)
먹다 碟(die) 切(qie)
아주 忒(te) 忒(tek) (같은 단어 다른 지역에서도 존재)
아니다 包(bao, 부정) 勿(vu)

💡 참고

  • 陕西话는 음운과 어순이 특이해서 귀로 들었을 때도 “보통화랑 달라!”는 느낌이 강하고,
  • 남통화는 보통화 사용자에게는 거의 “외국어처럼” 느껴질 수 있어. 발음 체계가 너무 다르고 고대 중국어 요소도 많이 남아 있어서.

📘 서안화 vs 보통화 예문 비교표

의미보통화 (普通话)서안화 (西安话)비고

 

오늘 너무 덥다 今天很热。 今儿热的太太。/ 热的很。 "很"을 뒤에 위치시킴
나는 너를 사랑해 我爱你。 饿爱你。 1인칭: "饿(e4)" 사용
어디 가? 你去哪儿? 你克哪达? 克(去), 达(那里)
어디야? 哪儿? 啊达? 啊达 = 어디
어제 뭐 했어? 昨天你做了什么? 野个你社啥咧? 野个(어제), 社(말하다/하다)
아주 좋아 非常好 忒好咧 / 了杂列 忒(아주), 了杂列(매우 좋다)
밥 먹었어? 吃饭了吗? 碟饭咧没? 碟 = 먹다
이야기 좀 하자 聊天吧 谝一下 谝(pian) = 말하다, 잡담하다
장난 그만해 别开玩笑了 别花搅了 花搅 = 장난하다
거짓말하지 마 别撒谎 别糟怪! 糟怪 = 거짓말하다
옆으로 비켜 让一边 一案子起 / 列远点 列远 = 옆으로 가다
빨리 해! 快点! 克里马擦! “hurry up” 느낌
별로야 / 형편없다 不怎么样 马卡列 / 木乱 马卡 = 별로, 木乱 = 불편
이건 괜찮다 这个不错 这个罢列 罢列 = 보통, 괜찮다
잘 지냈어? 你最近怎么样? 你最近活试不? 活试 = 괜찮다, 지내다

💬 어기조사 / 기능어 비교

보통화서안화설명

 

咧 (lie) 어기조사 “~했다”
寺 (shi) 서술사 “~이다”
包 (bao) 부정사 “~않다”
社 (she) 말하다

 


🚌🚇 1. 버스 / 지하철 탈 때

상황보통화서안화설명

 

몇 번 버스 타요? 坐几路车? 坐几路车咧? “咧” 어기조사 자주 사용
이 버스 시안역 가요? 这车到西安站吗? 这车克西安站包? 克 = 가다, 包 = 부정
카드 있어요? 有卡吗? 有卡咧? / 有卡没? “没”는 의문/부정 모두 사용
다음 정거장 어디예요? 下一站是哪? 下一站是啊达? 啊达 = 어디
내릴게요 我要下车 饿要下车咧 饿 = 나

🛒 2. 시장 / 슈퍼에서 장볼 때

상황보통화서안화설명

 

이거 얼마예요? 这个多少钱? 这个几多钱? “几多” = 얼마
너무 비싸요! 太贵了! 贵的忒咧! 忒 = 너무
좀 싸게 해줘요 便宜点吧 便宜点咧 / 给我便宜点咧 “咧” 강조
신선한 거 있어요? 有新鲜的吗? 有鲜活的没? 活试 = 신선함/좋음
이거 무게 좀 달아줘요 称一下这个 给我四火这个 四火 = 시도하다 → 측정/해봄

🍜 3. 식당에서 주문할 때

상황보통화서안화설명

 

메뉴 좀 주세요 给我菜单 给我菜单咧 / 拿菜单咧 “咧” 붙이기
이거 하나 주세요 要这个 要这个咧 친숙하게 들림
맵게 해주세요 放辣一点 给我辣的忒咧! 忒 = 아주
물 좀 주세요 给我点水 给我点水咧 요청 문장은 “咧” 붙이기 자연스러움
계산할게요 买单 结账咧 / 给我结账 결제 요청

🗣️ 4. 친구와 일상 대화

상황보통화서안화설명

 

뭐해? 干嘛呢? 干啥咧? / 干咧? 干啥 = 뭐함?
어디가? 去哪儿? 克哪达? 克 = 가다
나 배고파 我饿了 饿饿咧! 반복도 사용 가능
너무 웃겨 太搞笑了! 花搅的忒咧! 花搅 = 웃기다, 장난
얘기 좀 하자 聊聊吧 谝一哈 谝 = 이야기하다
진짜 대단해 真的厉害! 忒蹭咧! 蹭 = 대단하다
넌 어때? 你呢? 你咧? 간단하게 반문

🧠 서안화 핵심 단어 요약

표준어서안화의미

 

饿 (e4)
的太太 / 的很 매우
가다
哪里 啊达 어디
说 / 聊天 社 / 谝 말하다, 수다
매우, 진짜
吃饭 碟饭 밥 먹다
싸다 便宜 便宜 / 不贵(口어체적)
어기조사 ~했어, ~야 등

🏥 5. 병원에서 (진료받기, 약 받기 등)

상황보통화서안화설명

 

어디 아파요? 哪里不舒服? 啊达不得劲咧? 不得劲 = 아프다/불편
어디가 아프세요? 哪儿疼? 啊达疼咧? 疼 = 아프다
열이 있어요 我发烧了 饿烧咧 “饿” = 나, “烧” = 열
감기 걸렸어요 我感冒了 饿感冒咧 서안화는 보통어 발음 유지함
진료받으러 왔어요 我来看病 饿来看病咧 看病 = 진찰받다
이거 먹는 약이에요? 这是吃的药? 这是吃的药咧? 약 설명 시에도 "咧" 사용
어디서 약 받아요? 哪儿拿药? 啊达拿药? 拿药 = 약 수령

🏫 6. 학교에서 (수업, 친구와 대화 등)

상황보통화서안화설명

 

수업 있어요? 有课吗? 有课咧? “咧”로 자연스러운 질문
선생님 왔어요? 老师来了没? 老师来咧没? “咧没” = 왔어? 안 왔어?
숙제 했어요? 作业写了吗? 作业写咧没? 동사+咧没 구조
같이 공부하자 一起学习吧 一道儿学咧! 一道儿 = 함께
내일 시험이에요 明天考试 明天要考咧! 要 + 동사 + 咧 = 예정 강조
조용히 해요 安静点 小点声咧! 小点声 = 소리 낮춰

🧭 7. 길 찾기 (방향 물어보기, 길 설명 등)

상황보통화서안화설명

 

어디 가요? 去哪儿? 克啊达? 克 = 가다, 啊达 = 어디
서안역 어디예요? 西安站在哪? 西安站在啊达咧? 啊达 = 어디
이 길로 가요? 走这条路吗? 走这条路包? 包 = 부정/의문
오른쪽이에요 在右边 在右手边咧 오른쪽=右手边
얼마나 걸려요? 要多久? 得几多时候? 几多时候 = 얼마나 오래
여기서 가까워요? 离这儿近吗? 离这儿近包? 包로 의문조
이 근처에 있어요 在附近 在边上咧 边上 = 옆, 근처

🔑 추가 표현 

표준어서안화의미
饿
가다
哪里 啊达 어디
的忒 / 的很 매우
아프다 (그대로 사용)
问路 问路 길 묻기 (보통화랑 같음)
一起 一道儿 함께
吃药 吃药 약 먹다 (같음)
拿药 拿药 약 타다 (같음)

🏥 병원에서

🗣️ 대화문 1: 진료받기

西安话
A: 啊达不得劲咧?
B: 饿头疼咧,还烧咧。
A: 去挂号咧没?
B: 刚挂咧,等着叫号咧。

普通话
A: 哪里不舒服?
B: 我头疼,还有点发烧。
A: 去挂号了吗?
B: 刚挂了,等着叫号呢。

한국어
A: 어디 아프세요?
B: 머리가 아프고 열도 있어요.
A: 접수했어요?
B: 방금 했고, 지금 번호 부르길 기다려요.


🏫 학교에서

🗣️ 대화문 2: 수업 전 친구와 대화

西安话
A: 作业写咧没?
B: 昨天晚上才写完咧。
A: 老师来咧没?
B: 还没咧,一道儿等哈。

普通话
A: 作业写了吗?
B: 昨天晚上才写完。
A: 老师来了吗?
B: 还没来,一起等一下吧。

한국어
A: 숙제 했어?
B: 어젯밤에야 겨우 했어.
A: 선생님 오셨어?
B: 아직 안 왔어, 같이 좀 기다리자.


🧭 길 찾기

🗣️ 대화문 3: 길 묻기

西安话
A: 克西安站咋走?
B: 从这一直走,到十字往右拐咧。
A: 得几多时候?
B: 十分钟包咧。

普通话
A: 去西安站怎么走?
B: 从这里一直走,到十字路口往右拐。
A: 要多久?
B: 十分钟左右吧。

한국어
A: 서안역 어떻게 가요?
B: 여기서 쭉 가다가 교차로에서 오른쪽으로 꺾어요.
A: 얼마나 걸려요?
B: 10분쯤이요.


🛒 시장/마트에서

🗣️ 대화문 4: 시장에서 과일 사기

西安话
A: 这苹果咋卖咧?
B: 三块五一斤咧。
A: 给饿称两斤。
B: 好咧,稍等哈。

普通话
A: 这个苹果怎么卖?
B: 三块五一斤。
A: 给我称两斤。
B: 好的,稍等一下。

한국어
A: 이 사과 얼마예요?
B: 500g에 3.5위안이에요.
A: 1kg 주세요.
B: 네, 잠시만요.


🍽️ 식당에서

🗣️ 대화문 5: 주문하기

西安话
A: 有啥好吃的哩?
B: 牛肉泡馍忒得很!
A: 给饿来一碗,别放香菜。
B: 好咧,等哈就上。

普通话
A: 有什么好吃的?
B: 牛肉泡馍特别好吃!
A: 给我来一碗,不要香菜。
B: 好的,马上就来。

한국어
A: 뭐 맛있는 거 있어요?
B: 소고기 빠오모 정말 맛있어요!
A: 한 그릇 주세요, 고수는 빼주세요.
B: 네, 금방 나와요.


🚌 버스/지하철 타기

🗣️ 대화문 6: 버스에서

西安话
A: 这路是走到南门不?
B: 去咧,你再坐两站就下。
A: 谢咧伙计!
B: 没事儿~

普通话
A: 这趟车到南门吗?
B: 到的,你再坐两站就可以下了。
A: 谢谢啦,朋友!
B: 没事儿~

한국어
A: 이 버스 남문 가요?
B: 가요, 두 정거장만 더 타면 돼요.
A: 고마워요, 친구!
B: 괜찮아요~


👬 친구끼리 잡담

🗣️ 대화문 7: 농담하거나 장난칠 때

西安话
A: 你昨儿没来,是不是偷懒咧?
B: 你别花搅咧!饿是有事。
A: 还扎式的~
B: 饿看你忒花搅咧!

普通话
A: 你昨天没来,是不是偷懒了?
B: 别开玩笑了,我真有事。
A: 你还挺装的~
B: 我看你才爱开玩笑呢!

한국어
A: 너 어제 안 왔잖아, 게으름 피운 거지?
B: 장난치지 마! 진짜 볼일 있었어.
A: 잘난 척은~
B: 네가 더 장난꾸러기 같아!


📱 전화 통화

🗣️ 대화문 8: 친구랑 전화

西安话
A: 喂,你在哪咧?
B: 饿在钟楼打圆咧,你来不?
A: 来咧,等饿一哈~
B: 行咧,饿就在门口儿等你。

普通话
A: 喂,你在哪儿?
B: 我在钟楼附近,你来不来?
A: 来了,等我一下。
B: 行,我在门口等你。

한국어
A: 여보세요, 어디야?
B: 나 종루 근처야, 올래?
A: 갈게, 잠깐만 기다려~
B: 오케이, 입구에서 기다릴게.


🛒 마트에서 카드 결제할 때

🗣️ 대화문 9: 계산대에서

 
상황서안화 (西安话)보통화 (普通话)한국어 번역

 

A: 총 얼마예요? 一共好多钱咧? 一共多少钱? 총 얼마예요?
B: 一百三,五毛。 一百三,五毛。 130.5위안이에요.  
A: 饿刷卡,行不? 我刷卡,可以吗? 카드 결제 돼요?  
B: 行咧,密码社一哈。 可以,输一下密码。 네, 비밀번호 눌러주세요.  
A: 社咧,发票要不? 说了,不用发票。 됐어요, 영수증은 필요 없어요.  
B: 好咧,拿好咧! 好的,拿好啦! 네, 챙기세요!  

💊 약국에서 약 사기

🗣️ 대화문 10: 감기약 사러 갔을 때

 
상황서안화 (西安话)보통화 (普通话)한국어 번역

 

A: 伙计,有治感冒的药没? 朋友,有治感冒的药吗? 감기약 있어요?  
B: 有咧,你是流鼻涕还是发烧? 有,你是流鼻涕还是发烧? 있어요. 콧물 나요, 아니면 열나요?  
A: 饿发烧,还有点头疼。 我发烧,还有点头疼。 열 나고 머리도 좀 아파요.  
B: 吃这个“连花清瘟”,忒灵咧。 吃这个“连花清瘟”,很有效。 이 ‘련화청온’ 드세요. 효과 좋아요.  
A: 好咧,给饿来一盒。 好的,给我来一盒。 네, 한 상자 주세요.  
B: 一盒三十七,包袋子不? 一盒三十七,要袋子吗? 한 상자 37위안이에요. 봉투 필요하세요?  
A: 包咧~ 要~ 주세요~  

💡 특징 요약

  • 어순: “很热” → “热的太太” / “热的很” → 수식어가 뒤에 옴
  • 1인칭: “我” → “饿”
  • 어기조사 풍부: “咧”는 다양한 상황에 사용
  • 감탄사: “忒” (아주), “了杂列” (매우 좋음)

 

🔑 서안화 표현 포인트

  • “社” = 말하다, 입력하다 (말그대로 “입력하라” → “密码社一哈” = 비밀번호 누르세요)
  • “忒” = 매우, 아주 (忒灵 = 아주 효과 좋아)
  • “饿” = 나 (보통화의 “我”에 해당)
  • “包” = 하지 마라, 또는 “줘” (문맥에 따라 달라짐 → “包袋子不” = 봉투 드릴까요?)
  • “咧” = 어기조사. 끝맺음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 (“了”와 비슷하지만 느낌이 더 구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