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ohsi

山西名字最难认的古城:在水中央矗立400年不倒,从未被攻陷过 본문

카테고리 없음

山西名字最难认的古城:在水中央矗立400年不倒,从未被攻陷过

Poohsi&Company 2025. 2. 4. 19:46

 

山西名字最難認的古城:在水中央矗立400年不倒,從未被攻陷過

 

2024/07/24 檢舉

    沁水流域陽城縣潤城鎮一帶非富即貴的地主鄉紳,為保家護業,牽頭先后修建起湘峪古堡、皇城相府、天官王府、郭峪古城、砥洎城等一批城堡,這些規模宏大、功能齊全的城堡,即便是今天看來,仍覺構思巧妙、雄偉壯觀。

砥洎城建在水邊的一座小山咀上,沁河改道前,這里三面環水,高墻陡立,易守難攻。遠望砥洎城,它堅如磐石,如中流砥柱,故名砥洎城。

 
    砥洎城城中遺存的明代建筑文昌閣台基上,尚存「山城一覽」碑刻,是明崇禎十一年(1638)楊載簡記為砥洎城建筑規劃平面圖,圖中詳細標出城廓的地理方位及主要建筑分布、每宅占地面積以及巷道和設施。這種明代小城鎮建筑規劃圖,是中國古代建筑史上稀有的珍貴資料。

彼時潤城一帶冶煉業發達,所以當地人在筑城時就地取材,將煉鋼鐵廢棄的坩堝用于城墻修筑,所以今天我們就看到城墻上密密麻麻、整齊排列的坩堝與條石混砌,由于坩堝堅硬如鐵,砥洎城也就被譽為中國第一「銅墻鐵壁」

 

又由于這坩堝空洞密集,砥洎城的城墻也被笑稱「中國最丑」古城墻。   

 砥洎城內,民居高低錯落,窄小的巷道密如蛛網、四通八達,構成完善的內部防御、逃生體系,即便城墻被攻破,城內居民依然可以借助房屋、巷道擊殺來犯之敵,做最后的抵抗和轉移。這座規模不大卻盡顯古人奇思妙想的古城,讓人過目難忘。

砥洎城所在的潤城鎮上,歷盡滄桑、古樸破敗的明清古建筑數量眾多,

由于缺乏維護修繕,許多都已經岌岌可危,隨時都可能倒塌,和周邊近年修建的現代民居形成巨大反差,同一時空下一眼就仿佛穿越回到過去,這樣的沉浸式體驗感,也很是難得,若是時間寬裕,真應該在鎮上漫無目的地走一走,看一看。

 

 

🔹 山西名字最难认的古城:在水中央矗立400年不倒,从未被攻陷过

📌 Shānxī míngzì zuì nán rèn de gǔchéng: zài shuǐ zhōngyāng chùlì 400 nián bù dǎo, cóngwèi bèi gōngxiàn guò.
👉 산시(山西)에서 이름을 가장 알아보기 어려운 고성: 물 한가운데 우뚝 서서 400년 동안 무너지지 않았고, 한 번도 함락된 적이 없다.


🔹 沁水流域阳城县润城镇一带非富即贵的地主乡绅,为保家护业,牵头先后修建起湘峪古堡、皇城相府、天官王府、郭峪古城、砥洎城等一批城堡,这些规模宏大、功能齐全的城堡,即便是今天看来,仍觉构思巧妙、雄伟壮观。

📌 Qìnshuǐ liúyù Yángchéng xiàn Rùnchéng zhèn yídài fēi fù jí guì de dìzhǔ xiāngshēn, wèi bǎo jiā hù yè, qiāntóu xiānhòu xiūjiàn qǐ Xiāngyù gǔbǎo, Huángchéng Xiāngfǔ, Tiānguān Wángfǔ, Guōyù gǔchéng, Dǐjǐ chéng děng yī pī chéngbǎo, zhèxiē guīmó hóngdà, gōngnéng qíquán de chéngbǎo, jíbiàn shì jīntiān kàn lái, réng jué gòusī qiǎomiào, xióngwěi zhuàngguān.
👉 친수이(沁水) 유역 양청현(阳城县) 윤성진(润城镇) 일대의 부유한 지주와 향신들은 가업을 지키기 위해 앞장서서 샹위고보(湘峪古堡), 황성상부(皇城相府), 천관왕부(天官王府), 곽유고성(郭峪古城), 그리고 디지청(砥洎城) 등 여러 성채를 건설했다. 이 성들은 규모가 크고 기능이 완벽하게 갖춰져 있으며, 오늘날 보더라도 여전히 정교한 설계와 웅장한 모습을 자랑한다.


🔹 砥洎城建在水边的一座小山咀上,沁河改道前,这里三面环水,高墙陡立,易守难攻。远望砥洎城,它坚如磐石,如中流砥柱,故名砥洎城。

📌 Dǐjǐ chéng jiàn zài shuǐbiān de yī zuò xiǎo shānzuǐ shàng, Qìnhé gǎidào qián, zhèlǐ sān miàn huán shuǐ, gāoqiáng dǒulì, yì shǒu nán gōng. Yuǎn wàng Dǐjǐ chéng, tā jiān rú pánshí, rú zhōngliú dǐzhù, gù míng Dǐjǐ chéng.
👉 디지청(砥洎城)은 물가의 작은 산봉우리에 세워졌으며, 친허(沁河)가 경로를 바꾸기 전에는 삼면이 물로 둘러싸여 있어 높은 성벽이 가파르게 솟아 있었고, 수비가 용이하고 공격이 어려웠다. 멀리서 바라보면 바위처럼 단단하고 물살을 가로지르는 기둥처럼 서 있어, '디지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 砥洎城城中遗存的明代建筑文昌阁台基上,尚存「山城一览」碑刻,是明崇祯十一年(1638)杨载简记为砥洎城建筑规划平面图,图中详细标出城廓的地理方位及主要建筑分布、每宅占地面积以及巷道和设施。

📌 Dǐjǐ chéng chéng zhōng yícún de Míngdài jiànzhù Wénchānggé táijī shàng, shàng cún "Shānchéng yīlǎn" bēikè, shì Míng Chóngzhēn shíyī nián (1638) Yáng Zài jiǎn jì wéi Dǐjǐ chéng jiànzhù guīhuà píngmiàntú, tú zhōng xiángxì biāo chū chéngkuò de dìlǐ fāngwèi jí zhǔyào jiànzhù fēnbù, měi zhái zhàn dì miànjī yǐjí xiàngdào hé shèshī.
👉 디지청 내에는 명대 건축물인 문창각(文昌阁)의 기단이 남아 있으며, 그 위에는 '산성 일람(山城一览)' 비석이 있다. 이는 명나라 숭정 11년(1638년) 양재(杨载)가 간략히 기록한 디지청의 건축 계획 평면도로, 성곽의 지리적 위치, 주요 건축물 배치, 각 가옥의 대지 면적, 골목 및 시설 등이 상세히 표시되어 있다.


🔹 彼时润城一带冶炼业发达,所以当地人在筑城时就地取材,将炼钢铁废弃的坩埚用于城墙修筑,所以今天我们就看到城墙上密密麻麻、整齐排列的坩埚与条石混砌。

📌 Bǐshí Rùnchéng yídài yěliàn yè fādá, suǒyǐ dāngdì rén zài zhù chéng shí jiùdì qǔcái, jiāng liàngāngtiě fèiqì de gānguō yòng yú chéngqiáng xiūzhù, suǒyǐ jīntiān wǒmen jiù kàndào chéngqiáng shàng mìmimámá, zhěngqí páiliè de gānguō yǔ tiáoshí hùn qì.
👉 당시 윤성(润城) 지역은 제련업이 발달했기 때문에, 현지 주민들은 성을 쌓을 때 현장에서 재료를 조달하여 제철 과정에서 폐기된 도가니(坩埚)를 성벽 건축에 사용했다. 그래서 오늘날 우리는 성벽 위에 빼곡하게 정렬된 도가니와 석재가 혼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 단어 및 문형 분석

단어병음뜻

矗立 chùlì 우뚝 서다
砥洎城 Dǐjǐ chéng 디지청 (고성의 이름)
环水 huán shuǐ 물로 둘러싸이다
堡垒 bǎolěi 요새
冶炼 yěliàn 제련하다
坩埚 gānguō 도가니 (금속을 녹이는 그릇)

 

🔹 문형 분석

  1. "即便……,仍……" (jíbiàn..., réng...) → "설령 …하더라도 여전히 …하다"
    • 即便是今天看来,仍觉构思巧妙、雄伟壮观。
    • (설령 오늘날 보더라도 여전히 정교한 설계와 웅장한 모습을 자랑한다.)

💬 대화문 예제

👤 A: 砥洎城为什么这么特别?
(Dǐjǐ chéng wèishéme zhème tèbié?)
👉 디지청이 왜 이렇게 특별한 거야?

👤 B: 因为它用炼钢铁的坩埚建造,所以被称为「铜墙铁壁」。
(Yīnwèi tā yòng liàngāngtiě de gānguō jiànzào, suǒyǐ bèi chēng wéi 'tóngqiáng tiěbì' .)
👉 제철 도가니를 사용해 건축했기 때문에 "동벽 철벽"이라고 불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