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같은 듯 다른 한국과 중국, 그 속사정

Poohsi&Company 2025. 4. 11. 15:13

台湾的国际地位与“Chinese Taipei”的含义

정리 : 시명수

 

每当炎热的夏季来临,便利店总是备有各种各样的冷饮。特别是在八月初,天气异常闷热,人们总习惯随身携带饮品。相比之下,深秋时节更适合旅行——气温适中,空气清新,令人身心愉悦。

说到旅行,台湾常是热门目的地之一。然而,在奥运会等国际场合中,台湾并不是以“台湾”之名登场,而是被称为“Chinese Taipei”(中华台北)。这个名称的使用,背后隐藏着台湾复杂的国际地位与历史背景。

从历史角度来看,清朝时期,台湾曾被划归为福建省的一部分,后来设立台湾省。然而,对于台湾历史的诠释,不同政党却有不同立场。

民进党(泛绿阵营)主张台湾的历史应从本省人和原住民共存的时代开始,强调台湾的独立性。而国民党(泛蓝阵营)则认为台湾历史始于明朝,是中华文化的一部分,因此更倾向于统一的立场。

在中华民国的立场中,现今的中华人民共和国是由共产党占据的;而在中国(大陆)的观点中,中华民国只是占据了一个“省级行政区域”——台湾省。这种根本性的分歧,使得两岸关系长期陷入紧张和对立。

“Chinese Taipei”这一名称正是这场政治角力的缩影。国民党提出该名称,试图在国际社会中保持某种“中华认同”;然而,中国大陆对于这一名称的理解和台湾方面并不相同,甚至有意将其作为“一个中国”框架下的附属概念。

参考过去的一则社论,或许能帮助我们更深入理解两岸关系的演变:

冷战时期,中共政权(即“中共”或“中共国”)被视为对“自由中国”的叛乱势力。彼时,两岸均主张通过武力统一。1979年,中国大陆首先放弃“武力解放台湾”;1981年,台湾也宣布不再坚持“武力反攻大陆”。

随后,双方分别提出了“3通”和“3不”政策。中国提出的“3通”是指通商、通航、通邮,背后体现的是吸收统一的信心。而台湾则以“不接触、不谈判、不妥协”的“3不”应对,表明对中国的高度戒备。

然而,随着中国的国力和国际影响力不断提升,台湾在外交上的空间逐渐被压缩。2001年,台湾开始在部分地区允许“小三通”,随后又与中国达成直航协议。最终,台湾接受了“三通”,并由当时的总统马英九提出“新三不”政策:不统、不独、不武。

此举虽然避免了两岸之间的直接冲突,但也被认为是台湾地位进一步弱化的象征。接受“三通”而又不主张独立,也不争取统一,某种程度上等于接受“类似香港”的模糊地位。

尽管马总统在就职演说中仍提到“中华民国”,但如今台湾已经从“自由中国”转变为“中华台北”,其在国际社会中的地位显得格外尴尬与无奈。


대만 역사 해석의 차이양안 관계의 흐름3통·3불 정책현재의 실질적 위치


📍台湾的国际地位与“Chinese Taipei”的含义

Táiwān de guójì dìwèi yǔ “Chinese Taipei” de hányì
대만의 국제적 지위와 “Chinese Taipei”의 의미


🟩 段落一:引言(여는 말)

每当炎热的夏季来临,便利店总是备有各种各样的冷饮。特别是在八月初,天气异常闷热,人们总习惯随身携带饮品。相比之下,深秋时节更适合旅行——气温适中,空气清新,令人身心愉悦。

Měi dāng yánrè de xiàjì láilín, biànlìdiàn zǒng shì bèi yǒu gè zhǒng gè yàng de lěngyǐn. Tèbié shì zài bāyuè chū, tiānqì yìcháng mēnrè, rénmen zǒng xíguàn suíshēn xiédài yǐnpǐn. Xiāng bǐ zhī xià, shēnqiū shíjié gèng shìhé lǚxíng —— qìwēn shìzhōng, kōngqì qīngxīn, lìng rén shēnxīn yúyuè.

무더운 여름이 다가오면 편의점에는 늘 다양한 냉음료가 구비된다. 특히 8월 초에는 날씨가 매우 후텁지근해서 사람들은 늘 음료를 들고 다니는 게 습관처럼 된다. 그에 비해 늦가을은 여행하기에 훨씬 좋다 — 기온이 적당하고 공기가 맑아 몸과 마음이 상쾌해진다.


🟩 段落二:问题引出(문제 제기)

说到旅行,台湾常是热门目的地之一。然而,在奥运会等国际场合中,台湾并不是以“台湾”之名登场,而是被称为“Chinese Taipei”(中华台北)。这个名称的使用,背后隐藏着台湾复杂的国际地位与历史背景。

Shuō dào lǚxíng, Táiwān cháng shì rèmén mùdìdì zhī yī. Rán'ér, zài Àoyùnhuì děng guójì chǎnghé zhōng, Táiwān bìng bù shì yǐ “Táiwān” zhī míng dēngchǎng, ér shì bèi chēng wèi “Chinese Taipei” (Zhōnghuá Táiběi). Zhè ge míngchēng de shǐyòng, bèihòu yǐncáng zhe Táiwān fùzá de guójì dìwèi yǔ lìshǐ bèijǐng.

여행 이야기하면 대만은 항상 인기 있는 여행지 중 하나다. 하지만 올림픽 같은 국제 행사에서 대만은 ‘Taiwan’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지 않고, ‘Chinese Taipei’(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 이름의 사용은 대만의 복잡한 국제적 지위와 역사적 배경을 숨기고 있다.


🟩 段落三:历史与两岸关系的分歧

Lìshǐ yǔ liǎng'àn guānxì de fēnqí
역사와 양안 관계에 대한 입장 차이

台湾的历史理解因政党立场不同而有所差异。在民进党的观点中,台湾的历史始于原住民与本省人的共存,而非中国王朝的统治。这种看法强调台湾的主体性和独立性。

Táiwān de lìshǐ lǐjiě yīn zhèngdǎng lìchǎng bùtóng ér yǒu suǒ chāyì. Zài Mínjìndǎng de guāndiǎn zhōng, Táiwān de lìshǐ shǐ yú yuánzhùmín yǔ běnshěngrén de gòngcún, ér fēi Zhōngguó wángcháo de tǒngzhì. Zhè zhǒng kànfǎ qiángdiào Táiwān de zhǔtǐxìng hé dúlìxìng.

대만의 역사에 대한 이해는 정당의 입장에 따라 다르다. 민진당(범록진영) 입장에서는 대만의 역사는 원주민과 본성인의 공존에서 시작된다고 보며, 중국 왕조의 통치를 출발점으로 보지 않는다. 이 견해는 대만의 주체성과 독립성을 강조한다.


相比之下,国民党更倾向于将台湾的历史追溯至明朝,强调其与中国的深厚联系。这种观点强调统一的历史必然性。

Xiāngbǐ zhī xià, Guómíndǎng gèng qīngxiàng yú jiāng Táiwān de lìshǐ zhuīsù zhì Míngcháo, qiángdiào qí yǔ Zhōngguó de shēnhòu liánxì. Zhè zhǒng guāndiǎn qiángdiào tǒngyī de lìshǐ bìránxìng.

이에 비해 국민당(범람진영)은 대만의 역사를 명조로 거슬러 올라가며, 중국과의 깊은 연관성을 강조한다. 이 입장은 통일의 역사적 필연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 段落四:现实中的矛盾
Xiànshí zhōng de máodùn
현실 속의 모순

在中华民国的立场下,中国大陆是被共产党夺取的领土;而在中华人民共和国的眼中,台湾则是分裂出去的一个省份。双方的主权认知截然不同。

Zài Zhōnghuá Mínguó de lìchǎng xià, Zhōngguó dàlù shì bèi Gòngchǎndǎng duóqǔ de lǐngtǔ; ér zài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de yǎnzhōng, Táiwān zé shì fēnliè chūqù de yīgè shěngfèn. Shuāngfāng de zhǔquán rènzhī jiérán bùtóng.

중화민국(대만)의 입장에서는 중국 대륙은 공산당이 점령한 땅이다.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대만을 떨어져나간 성(省)의 하나로 본다. 양측은 주권에 대한 인식 자체가 완전히 다르다.


3통(三通)", "3불(三不)", 소(小)3통 허용, 그리고 마잉주 총통의 '신(新)3불 정책


🟩 冷战之后两岸关系的发展与政策争议

Lěngzhàn zhīhòu liǎng'àn guānxì de fāzhǎn yǔ zhèngcè zhēngyì
냉전 이후 양안 관계 발전과 정책적 논쟁


📌 一、1979年:大陆提出“和平统一”与“三通”政策

Yī, 1979 nián: dàlù tíchū “hépíng tǒngyī” yǔ “sāntōng” zhèngcè
1. 1979년: 중국의 ‘평화통일’ 및 ‘3통(三通)’ 정책 제안

中国全国人大常委会于1979年提出“和平统一、一国两制”方针,并倡导“三通”:通商、通航、通邮。

Zhōngguó Quánguó Rénmín Dàibiǎo Dàhuì Chángwěihuì yú 1979 nián tíchū “hépíng tǒngyī, yīguó liǎngzhì” fāngzhēn, bìng chàngdǎo “sāntōng”: tōngshāng, tōngháng, tōngyóu.

1979년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평화통일’과 ‘일국양제(一国两制)’ 방침을 제시하고, ‘3통(三通)’— 통상, 통항, 통우—를 제안했다.

🎯 争议点: 大陆提出三通,实际上包含了“吸收式统一”的意图,被台湾视为政治陷阱。

Zhēngyì diǎn: Dàlù tíchū sāntōng, shíjì shàng bāohánle “xīshōu shì tǒngyī” de yìtú, bèi Táiwān shìwéi zhèngzhì xiànjǐng.

논쟁 포인트: 중국의 3통 제안은 ‘흡수통일’ 의도가 내포되어 있으며, 대만에서는 이를 정치적 함정으로 인식했다.


📌 二、1981年:台湾回应“三不政策”

Èr, 1981 nián: Táiwān huíyìng “sānbù zhèngcè”
2. 1981년: 대만의 ‘3불 정책’으로 대응

台湾以“不接触、不谈判、不妥协”回应大陆,强调拒绝被统一的风险。

Táiwān yǐ “bù jiēchù, bù tánpàn, bù tuǒxié” huíyìng Dàlù, qiángdiào jùjué bèi tǒngyī de fēngxiǎn.

대만은 ‘불접촉, 불담판, 불타협’이라는 ‘3불 정책’으로 대응하며, 흡수통일의 위험을 단호히 거부했다.

🎯 争议点: “三不”政策使得两岸长期处于冷淡状态,也被批评为拒绝沟通的保守姿态。

Zhēngyì diǎn: “Sānbù” zhèngcè shǐdé liǎng'àn chángqī chǔyú lěngdàn zhuàngtài, yě bèi pīpíng wèi jùjué gōutōng de bǎoshǒu zītài.

논쟁 포인트: ‘3불 정책’은 양안 관계를 장기적으로 경색시켰고, 일부에서는 이를 소통을 거부하는 보수적 태도로 비판했다.


📌 三、2001年:“小三通”启动,局部开放

Sān, 2001 nián: “xiǎo sāntōng” qǐdòng, júbù kāifàng
3. 2001년: ‘소(小)3통’ 개시, 제한적 개방

台湾政府允许金门、马祖等前线岛屿与福建进行直接通航、通商、通邮,被称为“小三通”。

Táiwān zhèngfǔ yǔnxǔ Jīnmén, Mǎzǔ děng qiánxiàn dǎoyǔ yǔ Fújiàn jìnxíng zhíjiē tōngháng, tōngshāng, tōngyóu, bèi chēng wèi “xiǎo sāntōng”.

대만 정부는 진먼(金门), 마쭈(马祖) 등 전방 도서에서 푸젠성과 직접 항로, 교역, 우편을 허용하여 이를 ‘소3통’이라 불렀다.

🎯 争议点: 小三通虽然是技术性开放,但被认为是对“一国两制”模式的默认,也引发岛内的政治分歧。

Zhēngyì diǎn: Xiǎo sāntōng suīrán shì jìshù xìng kāifàng, dàn bèi rènwéi shì duì “yīguó liǎngzhì” móshì de mòrèn, yě yǐnfā dǎo nèi de zhèngzhì fēnqí.

논쟁 포인트: 소3통은 기술적인 개방으로 보일 수 있으나, 일국양제 모델을 사실상 인정한 것이며, 대만 내에서도 정치적 갈등을 초래했다.


📌 四、2008年:马英九的“新三不政策”

Sì, 2008 nián: Mǎ Yīngjiǔ de “xīn sānbù zhèngcè”
4. 2008년: 마잉주 총통의 ‘신(新)3불 정책’ 발표

马英九提出“不统、不独、不武”,意图在于缓解两岸紧张,同时推动实际交往。

Mǎ Yīngjiǔ tíchū “bù tǒng, bù dú, bù wǔ”, yìtú zàiyú huǎnjiě liǎng'àn jǐnzhāng, tóngshí tuīdòng shíjì jiāowǎng.

마잉주 총통은 ‘불통일, 불독립, 불무력’을 골자로 하는 신3불 정책을 제시하여, 양안 긴장을 완화하고 실질적 교류를 추진하고자 했다.

🎯 争议点: 此政策被批评为“模糊战略”,既不明确表达统一立场,又不真正捍卫台湾的独立性。

Zhēngyì diǎn: Cǐ zhèngcè bèi pīpíng wèi “móhú zhànlüè”, jì bù míngquè biǎodá tǒngyī lìchǎng, yòu bù zhēnzhèng hànwèi Táiwān de dúlìxìng.

논쟁 포인트: 이 정책은 ‘모호한 전략’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통일에 대한 명확한 입장도 없고, 대만 독립성도 실질적으로 지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 结语:在现实与理想之间徘徊

Jiéyǔ: Zài xiànshí yǔ lǐxiǎng zhī jiān páihuái
결론: 현실과 이상 사이의 줄타기

양안 관계는 단순한 외교 갈등이 아니라 역사 인식, 민족 정체성, 국제 정치가 복합적으로 얽힌 구조다. 각 시기의 정책 변화는 타협의 산물이자 새로운 논쟁의 불씨이기도 하다.

향후 정세에 따라 이 '3통–3불'의 흐름은 또 다른 이름으로 재편될 수 있다.

 

 

三通四流 (삼통사류, sāntōng sìliú): 양안 관계의 핵심 키워드

3통4류의 역사와 발전


📌 핵심 개념 정리


 

삼통 三通 sāntōng 세 가지 통로 (우편, 항공, 통상)
통우 通邮 tōngyóu 우편 교류
통항 通航 tōngháng 운송(항공 및 해운) 교류
통상 通商 tōngshāng 상업·무역 교류
사류 四流 sìliú 네 가지 교류 (경제, 과학, 문화, 체육)
경제교류 经济交流 jīngjì jiāoliú 경제 교류
과학교류 科技交流 kējì jiāoliú 과학 기술 교류
문화교류 文化交流 wénhuà jiāoliú 문화 교류
체육교류 体育交流 tǐyù jiāoliú 체육 교류

📖 용어 정의
‘三通四流’는 1979년 중국 총리 화궈펑(华国锋 Huá Guófēng)이 처음 제안한 양안(两岸 liǎng'àn, 대만과 중국 본토) 관계 개선 실천 방안으로, 물리적 연결(三通)과 소프트 파워 교류(四流)를 아우르는 종합 전략이다.


🕰️ 역사 타임라인


 

1979년 화궈펑, ‘三通四流’ 제안 Huá Guófēng tí chū “sāntōng sìliú” 화궈펑 총리, 3통4류 제안
1987년 장징궈, 대만인의 대륙 방문 허용 Jiǎng Jīngguó yǔnxǔ Táiwān rén fǎng Dàlù 장징궈 총통, 가족 상봉 목적 방문 허용
1988–1989년 간접/비공식 우편·전화 교류 시작 jiànjiē bù zhèngshì de tōngxìn kāishǐ 비공식적인 연락 시작
2001년 小三通(소삼통): 푸젠성↔진먼, 마쭈 지역 간 해상 교통 개시 xiǎosāntōng kāishǐ: fújiàn yǔ Jīnmén, Mǎzǔ zhíjiē tōngháng 소규모 해상 직접 연결 개시
2008년 大三通(대삼통): 양안 간 정기 항공·해운·우편 통로 전면 개방 dàsāntōng: zhèngshì tōngguò hángkōng, hǎiyùn, yóujiàn 본격적이고 직접적인 삼통 실현

💼 경제와 통상: 교류의 중심축

  • 초기에 간접 무역 (间接贸易, jiànjiē màoyì) → 점차 직접 무역 (直接贸易, zhíjiē màoyì)으로 확대
  • 투자지역:
    • 珠三角 Zhūsānjiǎo (선전, 둥관 등)
    • 长三角 Chángsānjiǎo (상하이, 쑤저우 등)
  • 산업 변화: 노동집약형 (劳动密集型, láodòng mìjíxíng) → 첨단산업 (高科技产业, gāokējì chǎnyè)

✈️✉️ 통항 · 통우의 구체적 흐름

▪️ 통우 (우편 교류)


 

불통기 1949–1979 단절, 일체 연락 불가
단방향 통신 1979–1988 대륙에서만 대만으로 발신 가능
비공식 왕래 1988–1989 양측 간 우회·비공식 교신 시작
간접 → 직접 통신 1989–2008 홍콩·마카오 경유 → 점차 직접 연락 체계 구축
전면 개방 2008년 이후 직항, 직우, 직통 전화·팩스 가능

▪️ 통항 (운송 교류)

구간연결 내용

 

샤먼↔진먼 해상 여객선 운항
타이베이↔상하이 직항 항공노선 운영 시작
가오슝↔칭다오 해운 및 항공 양방향 노선 정기화

🧩 요약 정리

핵심 포인트설명

 

실천적 로드맵 ‘3통4류’는 단순한 구호가 아닌 단계별 실천 전략
간접→직접의 흐름 홍콩·마카오 경유 → 본격 양안 직접 교류
경제가 선도 경제 협력이 먼저 시작되어 타 분야 확산을 이끔
마잉주 정권의 전환점 2008년 이후 관계가 전면적으로 개선되며 ‘대삼통’ 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