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日常 대화 패턴 비교(普通話,閩南話)
Poohsi&Company
2025. 4. 10. 23:50
국어(普通話, 표준중국어)와 민남어(閩南話, Taiwanese Hokkien)
📌 1. 인사 & 안부 묻기
안녕하세요? | 你好嗎? | Lí hó--bô? | 你好吗? | 안녕하세요? |
잘 지내요. | 我好。 | Guá hó. | 我很好。 | 잘 지내요. |
요즘 어때요? | 近來好無? | Kīn-lâi hó--bô? | 最近怎么样? | 요즘 어때요? |
고마워요 | 多謝。 | To-siā. | 謝謝。 | 감사합니다. |
천만에요 | 免客氣。 | Bián kheh-khì. | 不客氣。 | 천만에요. |
📌 2. 식사할 때
밥 먹었어요? | 食飽未? | Tsia̍h-pá--bē? | 吃饱了吗? | 밥 드셨어요? |
아직이요 | 猶未。 | Iáu-bē. | 还没。 | 아직이요. |
뭐 먹고 싶어요? | 欲食啥物? | Beh tsia̍h siánn-mih? | 想吃什么? | 뭐 먹고 싶어요? |
맛있어요! | 真好食! | Tsin hó-tsia̍h! | 很好吃! | 맛있어요! |
배불러요 | 飽矣。 | Pá--ah. | 吃饱了。 | 배불러요. |
📌 3. 감정 표현
기뻐요 | 我真歡喜。 | Guá tsin huann-hí. | 我很高興。 | 기뻐요. |
피곤해요 | 我真倦。 | Guá tsin kuàn. | 我很累。 | 피곤해요. |
슬퍼요 | 我真悲傷。 | Guá tsin pi-siong. | 我很難過。 | 슬퍼요. |
화나요 | 我發脾氣。 | Guá huat-pê-khì. | 我生氣了。 | 화났어요. |
걱정돼요 | 我有憂愁。 | Guá ū iu-tsiû. | 我有點擔心。 | 걱정돼요. |
📌 4. 질문과 요청
이게 뭐예요? | 這是啥物? | Tsit sī siánn-mih? | 這是什麼? | 이게 뭐예요? |
어디에 가요? | 欲去佗位? | Beh khì tó--ūi? | 要去哪裡? | 어디에 가요? |
도와주세요 | 請幫我一下。 | Tshing pang guá chit-ê. | 請幫我一下。 | 도와주세요. |
얼마예요? | 這若濟錢? | Tsit guā tsē tsînn? | 這多少錢? | 이거 얼마예요? |
화장실 어디예요? | 便所佗位? | Piān-só tó--ūi? | 洗手間在哪裡? | 화장실 어디예요? |
📌 5. 작별 인사
잘 가요 | 慢走。 | Bān-tsáu. | 慢走。 | 안녕히 가세요. |
다음에 봐요 | 後擺見。 | Āu-pái kìⁿ. | 下次見。 | 다음에 봐요. |
안녕히 주무세요 | 早睏! | Tsá-khùn! | 晚安! | 잘 자요! |
🛍️ 6. 시장에서 / 쇼핑할 때
이거 얼마예요? | 這若濟錢? | Tsit guā tsē tsînn? | 這個多少錢? | 이거 얼마예요? |
좀 깎아주세요 | 較便宜一下好無? | Khah piān-chē tsit-ē hó--bô? | 可以便宜一點嗎? | 좀 싸게 해 주세요 |
너무 비싸요 | 真貴耶! | Tsin kùi--ê! | 太貴了! | 너무 비싸요 |
이거 주세요 | 欲買這項。 | Beh bé tsit-hāng. | 我要買這個。 | 이거 살게요 |
다른 색 있어요? | 有別種色無? | Ū pa̍t-tsióng sek--bô? | 有別的顏色嗎? | 다른 색 있어요? |
🧭 7. 길 묻기 / 교통 이용
___에 어떻게 가요? | 欲按怎去___? | Beh án-tsuán khì ___? | 去___怎麼走? | ___에 어떻게 가요? |
이 근처예요? | 遮爿咧無? | Tseh-pîⁿ--leh--bô? | 在附近嗎? | 이 근처에요? |
몇 번 버스 타요? | 欲搭幾號公車? | Beh tah kúi hō kong-tshia? | 要搭幾號公車? | 몇 번 버스 타야 해요? |
지하철역 어디예요? | 捷運站佗位? | Tsiat-ūn-tsām tó--ūi? | 捷運站在哪裡? | 지하철역이 어디예요? |
여기서 멀어요? | 遮離彼爿遠無? | Tseh lī hit-pîⁿ hn̄g--bô? | 這裡離那邊遠嗎? | 여기서 멀어요? |
💡 민남어 특징 포인트
- Beh (欲): ‘~하고 싶다’의 의미로, 표준중국어의 要[yao]에 대응
- Tsit (這): ‘이’, Hit (彼): ‘저’
- Khì (去), Lâi (來): 동사의 기본형은 국어와 거의 비슷하나 위치나 조동사에 따라 위치가 바뀌기도 함
- Bô (無): 부정문, 의문형에서 “~니?”, “없니?”, “안 그래?” 같은 어조에 자주 사용됨
🏥 8. 병원 / 몸이 아플 때
어디 아프세요? | 你佗位不爽快? | Lí tó--ūi bô sióng-khuài? | 你哪裡不舒服? | 어디 아프세요? |
머리가 아파요 | 頭殼痛。 | Thâu-khak thiànn. | 頭痛。 | 머리가 아파요 |
배가 아파요 | 肚子痛。 | Tóo-á thiànn. | 肚子痛。 | 배가 아파요 |
열이 있어요 | 有發燒。 | Ū hoat-sio. | 發燒了。 | 열이 있어요 |
감기에 걸렸어요 | 感冒矣。 | Kám-bō--ah. | 感冒了。 | 감기에 걸렸어요 |
약 주세요 | 請予我藥仔。 | Tshíng hōo guá io̍h-á. | 請給我藥。 | 약 주세요 |
병원에 가고 싶어요 | 我欲去病院。 | Guá beh khì pēnn-īnn. | 我要去醫院。 | 병원에 가고 싶어요 |
보험 있어요? | 有保險無? | Ū pó-hiám--bô? | 有保險嗎? | 보험 있어요? |
💡 민남어 포인트 설명
- 不爽快 bô sióng-khuài: 몸이 안 좋다는 표현으로 ‘기분이 나쁘다’보다는 ‘몸이 안 좋다’에 가까움
- 痛 thiànn: 통증 표현은 대부분 이 단어 사용
- 藥仔 io̍h-á: 여기서 -仔는 작음을 나타내는 접미사지만, 실제로는 ‘약’이라는 일반명사로 통용됨
- 病院 pēnn-īnn: 병원, 醫院도 쓰지만 病院이 더 구어체에 가까움
- 請予我 tshíng hōo guá: 정중하게 요청할 때의 전형적인 구조
🍽️ 9. 식당・카페에서
상황민남어 (臺語)발음국어 (普通話)한국어 의미
몇 분이세요? | 請問幾位? | Tshíng-mn̄g kúi-ūi? | 請問幾位? | 몇 분이세요? |
두 명이에요 | 兩位。 | Nńg-ūi. | 兩位。 | 두 명이에요 |
여기 앉아도 돼요? | 坐遮好無? | Tsē tsia hó--bô? | 可以坐這裡嗎? | 여기 앉아도 돼요? |
메뉴판 주세요 | 請予我菜單。 | Tshíng hōo guá tshài-tuann. | 請給我菜單。 | 메뉴판 주세요 |
이거 뭐예요? | 這是啥物? | Tsit sī siánn-mih? | 這是什麼? | 이거 뭐예요? |
이거 맛있어요 | 這个真好食。 | Tsit-ê tsin hó-tsia̍h. | 這個很好吃。 | 이거 맛있어요 |
뭘 추천하세요? | 你會介紹啥物? | Lí ē kài-siā siánn-mih? | 你會推薦什麼? | 뭘 추천하세요? |
물 주세요 | 請予我水。 | Tshíng hōo guá tsuí. | 請給我水。 | 물 주세요 |
계산해 주세요 | 結帳! 또는 請結帳。 | Kat-tsiùnn! / Tshíng kat-tsiùnn. | 結帳! / 請結帳。 | 계산해 주세요 |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 | 食飽矣,真飽。 | Tsia̍h pá--ah, tsin pá. | 吃飽了,很飽。 | 잘 먹었습니다 |
💡 민남어 포인트 설명
- 遮 tsia: '여기'라는 뜻. 북방방언의 這裡(zhèli)에 해당
- 啥物 siánn-mih: ‘무엇’이라는 뜻. 복합의문사
- 予 hōo: ‘~에게 주다’라는 동사. 文語의 ‘給’과 비슷하지만 실제 회화에 훨씬 자주 사용됨
- 真 tsin: 매우, 아주 (國語의 很)
🚇 10. 여행 중 길 찾기 & 교통편
🔹 상황: 지하철역을 찾고 싶은 경우
관광객 | 請問,捷運站佇佗位? | Tshíng-mn̄g, tsia̍t-ūn-tsām tī tó-uī? | 請問,捷運站在哪裡? | 지하철역이 어디에요? |
현지인 | 佇前面,過紅綠燈就到矣。 | Tī tsîng-bīn, kuè âng-le̍k-ting tō kàu--ah. | 在前面,過紅綠燈就到了。 | 앞에 있어요. 신호등 건너면 돼요. |
🔹 상황: 어느 버스를 타야 할지 물어볼 때
관광객 | 欲去台北車站,欲搭啥號車? | Beh khì Tâi-pak tshia-tsām, beh tah siánn hōo-tshia? | 要去台北車站,要搭幾號公車? | 타이베이역 가려면 몇 번 버스 타요? |
현지인 | 搭262號,車站前有站牌。 | Tah nn̄g-lak-jī hōo, tshia-tsām-tsîng ū tsām-pâi. | 搭262號,車站前有站牌。 | 262번 타세요. 역 앞에 정류장이 있어요. |
🔹 상황: 지하철 안에서 환승 관련 질문
관광객 | 我欲去西門町,這站會當轉車無? | Guá beh khì Se-bûn-tîng, tsit tsām ē-tàng tsuán-tshia bô? | 我要去西門町,這站可以換車嗎? | 시먼딩 가려면 여기서 환승할 수 있어요? |
현지인 | 會當,轉板南線。 | Ē-tàng, tsuán Pán-lâm-suànn. | 可以,換板南線。 | 네, 반난선으로 갈아타세요. |
🔍 단어・표현 정리
지하철 | 捷運 | tsia̍t-ūn | 捷運 | 지하철 |
버스 | 公車 | kong-tshia | 公車 | 버스 |
몇 번 (번호) | 幾號 | kúi hōo | 幾號 | 몇 번 |
정류장 | 站牌 | tsām-pâi | 站牌 | 정류장 |
환승 | 轉車 | tsuán-tshia | 換車 | 환승 |
~에 가다 | 欲去~ | beh khì~ | 要去~ | ~에 가다 |
🛍️ 11. 시장에서 물건 사기 & 흥정
🔹 상황: 가격 묻기
역할대사 (민남어 台語)발음국어 (普通話)한국어 의미
손님 | 這攤芒果偌濟錢? | Tsit thann bông-kó guā-tsē tsînn? | 這攤芒果多少錢? | 이 망고 얼마예요? |
상인 | 一斤五十塊。 | Tsit kin gōo-tsa̍p kho. | 一斤五十塊。 | 1근에 50위안이에요. |
🔹 상황: 흥정하기
손님 | 賣予我便宜一點好無? | Bē hōo guá piān-nî tsi̍t-tiám hó--bô? | 賣我便宜一點好不好? | 조금 깎아주시면 안 될까요? |
상인 | 好啦,四十五就好。 | Hó--lah, sì-tsa̍p-gōo tō hó. | 好吧,四十五就好。 | 좋아요, 45위안으로 드릴게요. |
🔹 상황: 여러 개 살 때 깎기
손님 | 我欲買三粒,有折扣無? | Guá beh bé sann lia̍p, ū tsiat-khòo bô? | 我要買三顆,有沒有折扣? | 3개 사면 할인 있어요? |
상인 | 買三粒,算你一百二。 | Bé sann lia̍p, sǹg lí tsit-pah-jī. | 買三顆算你一百二。 | 3개에 120위안에 드릴게요. |
🔍 단어・표현 정리
이거 | 這攤 | tsit thann | 這攤 | 이거 (이 좌판) |
얼마 | 偌濟錢 | guā-tsē tsînn | 多少錢 | 얼마 |
깎다 | 便宜 | piān-nî | 便宜 | 싸게 하다 |
할인 | 折扣 | tsiat-khòo | 折扣 | 할인 |
개수 단위 | 粒 | lia̍p | 顆 | (망고・사과 등) 개 |
무게 단위 | 斤 | kin | 斤 | 근 (600g) |
🏨 12. 숙소 예약 & 체크인
🔹 상황: 체크인하기
손님 | 我有訂房間。姓金。 | Guá ū tīng-pâng-kiⁿ. Sèⁿ Kim. | 我有訂房。姓金。 | 예약했어요. 김씨입니다. |
직원 | 請問是訂一間雙人房嗎? | Tshing-bēn sī tīng tsi̍t-king siang-lâng-pâng--bô? | 請問是訂一間雙人房嗎? | 두 사람 방 맞으신가요? |
손님 | 是啊,兩晚。 | Sī--ah, nn̄g-buán. | 是的,兩晚。 | 네, 이틀 숙박이요. |
🔹 상황: 여권 제시 & 체크인
직원 | 請提供護照。 | Tshing thê-kiong hōo-tsiàu. | 請提供護照。 | 여권 보여주세요. |
손님 | 這是我的護照。 | Tsit sī guá ê hōo-tsiàu. | 這是我的護照。 | 여기 제 여권이에요. |
🔹 상황: 방 관련 질문
손님 | 有無Wi-Fi密碼? | Ū-bô Wi-Fi bi̍t-bā? | 有沒有Wi-Fi密碼? | 와이파이 비밀번호 있어요? |
직원 | 密碼在房卡背面。 | Bi̍t-bā tī pâng-khá pue-bīn. | 密碼在房卡背面。 | 비밀번호는 방 카드 뒷면에 있어요. |
🔍 단어・표현 정리
표현민남어발음국어한국어
예약하다 | 訂房間 | tīng-pâng-kiⁿ | 訂房 | 방을 예약하다 |
방 | 房間 | pâng-kiⁿ | 房間 | 방 |
이틀 | 兩晚 | nn̄g-buán | 兩晚 | 2박 |
쌍인실 | 雙人房 | siang-lâng-pâng | 雙人房 | 두 사람 방 |
여권 | 護照 | hōo-tsiàu | 護照 | 여권 |
비밀번호 | 密碼 | bi̍t-bā | 密碼 | 비밀번호 |
🛠️ 13. 숙소 불편 문의하기
🔹 상황 1: 뜨거운 물이 안 나와요
손님 | 浴室無熱水。 | io̍k-sik bô jia̍t-tsuí. | 浴室沒有熱水。 | 욕실에 뜨거운 물이 안 나와요. |
직원 | 我來檢查看看。 | Guá lâi kiám-tsa khuànn-khòaⁿ. | 我來檢查看看。 | 확인하러 가볼게요. |
🔹 상황 2: 에어컨이 작동하지 않아요
손님 | 冷氣機無啟動。 | Líng-khì-ki bô khé-tōng. | 冷氣機沒開/沒運轉。 | 에어컨이 작동하지 않아요. |
직원 | 你有開遙控器無? | Lí ū khui iâu-khòng-khì bô? | 你有開遙控器嗎? | 리모컨은 켜셨어요? |
🔹 상황 3: 물이 잘 안 빠져요
손님 | 廁所的水排袂去。 | tshē-só ê tsuí pâi-bē-khì. | 廁所的水排不出去。 | 화장실 물이 안 빠져요. |
직원 | 我請人來修理。 | Guá tshiánn lâng lâi siu-lí. | 我請人來修理。 | 수리하러 사람 부를게요. |
🔍 단어・표현 정리
뜨거운 물 | 熱水 | jia̍t-tsuí | 熱水 | 뜨거운 물 |
에어컨 | 冷氣機 | líng-khì-ki | 冷氣機 | 에어컨 |
작동하다 | 啟動 | khé-tōng | 開動/啟動 | 작동하다 |
리모컨 | 遙控器 | iâu-khòng-khì | 遙控器 | 리모컨 |
물이 빠지다 | 排去 | pâi-khì | 排掉 | 물이 빠지다 |
수리하다 | 修理 | siu-lí | 修理 | 고치다, 수리하다 |
🧳 14. 체크아웃 & 짐 맡기기
🔹 상황 1: 체크아웃할게요
손님 | 我要退房。 | Guá beh thuì-pâng. | 我要退房。 | 체크아웃할게요. |
직원 | 請問房號是幾號? | Tshíng-mn̄g pâng-hō sī kúi hō? | 請問房號是幾號? | 방 번호가 어떻게 되세요? |
손님 | 302 號。 | sann-pat-jī hō. | 三零二號。 | 302호예요. |
직원 | 好,已經辦好了。 | Hó, í-king pān-hó--ah. | 好,已經辦好了。 | 네, 체크아웃 처리됐습니다. |
🔹 상황 2: 짐 맡길 수 있을까요?
손님 | 行李會當寄佇恁遮咧? | Kiânn-lí ē-tàng kì tī lín tsia--leh? | 行李可以寄放在你們這裡嗎? | 짐을 여기 맡겨도 될까요? |
직원 | 會當,請放遮爾。 | Ē-tàng, tshíng pàng tsia--nih. | 可以,請放這裡。 | 네, 여기 두세요. |
손님 | 我下午再來拿。 | Guá ê-hō tsài lâi-ná. | 我下午再來拿。 | 오후에 다시 찾으러 올게요. |
🔍 표현 정리
체크아웃 | 退房 | thuì-pâng | 退房 | 체크아웃 |
방 번호 | 房號 | pâng-hō | 房號 | 방 번호 |
짐, 수하물 | 行李 | kiânn-lí | 行李 | 짐 |
맡기다 | 寄放 | kì-pàng | 寄放 | 맡기다 |
다시 찾다 | 再來拿 | tsài lâi-ná | 再來拿 | 다시 찾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