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活着》
1 | 人是为了活着本身而活着,而不是为了活着之外的任何事物而活着。 | 사람은 그 자체로 살아가기 위해 사는 것이지, 살아가는 것 외의 어떤 것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니다. | 삶의 본질과 존재의 이유에 대한 성찰을 담은 대사입니다. |
2 | 你千万别糊涂,死人都还想活过来,你一个大活人可不能去死。 | 제발 정신 차려요. 죽은 사람도 다시 살고 싶어하는데, 살아 있는 당신이 죽으려 하면 안 되죠. |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삶에 대한 집착을 강조하는 장면에서 나온 대사입니다. |
3 | 做人还是平常点好,争这个争那个,争来争去赔了自己的命。 | 사람은 평범하게 사는 게 좋아요. 이것저것 다투다 보면 결국 자기 목숨을 잃게 되죠. | 지나친 욕심과 경쟁이 결국 자신을 해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4 | 只要一家人天天在一起,也就不在乎什么福分了。 | 가족이 매일 함께할 수 있다면, 그게 바로 행복이죠. | 가족과 함께하는 일상의 소중함을 강조하는 대사입니다. |
5 | 人啊,活着时受了再多的苦,到了快死的时候也会想个法子来宽慰自己。 | 사람은 살아가는 동안 아무리 고통을 겪어도, 죽음이 다가오면 스스로를 위로하려 하죠. | 인간의 회복력과 자기 위로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
6 | 活着就是为了孩子。 | 사는 이유는 자식들 때문이야. | 부모로서 자식을 위해 살아가는 고단한 삶의 의미를 보여줍니다. |
7 | 福贵,你要挺住。 | 푸구이, 너는 버텨야 해. | 고난 속에서도 삶을 포기하지 말라는 격려의 말. |
8 | 这年头,活着就是胜利。 | 요즘 세상에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이긴 거야. | 격변기 속 생존 그 자체의 가치를 말하는 표현. |
9 | 苦日子总是要过去的。 | 힘든 날도 언젠가는 지나간다. |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자는 의미의 대사입니다. |
10 | 咱家现在只求平平安安就好。 | 우리 집은 이제 그냥 무사하기만을 바란다. | 더 이상 큰 꿈이나 야망이 아닌 평범한 삶을 소망하는 말. |
번호/대사/번역/의미 및 맥락
11 | 活着,不是为了吃饱穿暖,是为了心里不空。 | 살아간다는 건 단지 배부르고 따뜻한 게 전부가 아니야, 마음이 공허하지 않아야 해. | 인간다운 삶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대사. |
12 | 没有命,什么也干不了。 | 목숨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어. | 생존 자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 |
13 | 咱们福贵这一辈子啊,是苦是甜全都尝过了。 | 우리 푸구이 인생은, 쓴맛 단맛 다 맛봤지. | 파란만장한 인생을 회고하는 따뜻한 독백. |
14 | 死人是不会说话的,可是他们在心里跟咱们说话。 | 죽은 사람은 말은 못 해도, 마음속에서 우리와 대화를 하지. | 죽은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애도의 표현. |
15 | 咱们穷人啊,只有活着,才有希望。 | 우리 같은 가난한 사람들은 살아 있어야 희망이 있어. | 생존과 희망의 연결, 현실을 직시하는 대사. |
번호/대사/번역/의미 및 맥락
16 | 人啊,就得这么活,忍一忍,熬过去就好了。 | 사람은 말이야, 이렇게 살아야 해. 참고 견디면 결국 지나가게 돼. | 인내와 고통을 견디는 삶의 태도를 보여주는 대사. |
17 | 他们都走了,就剩下我们了。 | 다 떠나버렸고, 이제 우리만 남았네. | 가족이나 친구를 잃은 상실감과 고독함을 표현. |
18 | 咱们不是说好了,一起过好日子吗? | 우리 함께 잘 살자고 약속했잖아? | 과거의 희망과 현재의 현실 사이의 간극을 보여줌. |
19 | 以前咱家也热闹过,现在就剩下冷清了。 | 우리 집도 한때는 북적였지, 지금은 적막하기만 하네. | 가족 해체와 세월의 흐름을 느끼게 하는 대사. |
20 | 只要你在,我就不怕。 | 너만 있으면 난 두렵지 않아. | 관계와 정서적 의지, 사랑의 표현. |
번호/대사/번역/의미 및 맥락
21 | 我们家再穷,也不能丢人。 | 우리 집이 아무리 가난해도, 체면은 잃으면 안 돼. | 자존심과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인의 정서 반영. |
22 | 活着,不就是为了过日子嘛? | 살아간다는 건 결국 하루하루를 살아내는 거잖아? | 삶의 본질을 단순하게 표현한 말. |
23 | 人有时候啊,是得信点什么。 | 사람은 때로 뭔가를 믿고 살아야 해. | 신념이나 희망 없이 살기 힘든 인간 존재에 대한 고찰. |
24 | 你还年轻,以后什么都会有的。 | 넌 아직 젊으니까, 앞으로 뭐든 가질 수 있어. |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 세대 간의 대화에서 자주 나옴. |
25 | 谁都想好好活,可不是人人都能如愿。 | 누구나 잘 살고 싶어 하지. 하지만 모두가 그렇게 살 수 있는 건 아니야. | 현실에 대한 체념과 철학적 통찰을 담은 대사. |
번호/대사/번역/의미 및 맥락
26 | 你看这太阳,多暖和。 | 이 햇볕 좀 봐, 참 따뜻하네. | 소박한 일상 속 따뜻함과 희망을 느끼게 하는 말. |
27 | 没事的,一切都会好起来的。 | 괜찮아, 다 잘 될 거야. | 희망과 위로를 담은 말, 반복되는 고난 속에서도 꿋꿋함을 표현. |
28 | 活着就是希望。 |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희망이야. | 영화 전체의 핵심 메시지이자 주제 의식. |
29 | 咱家以前有钱,可那算什么?现在这样才是真的。 | 우리 집 옛날엔 돈 많았지, 하지만 그게 뭐야? 지금 이게 진짜지. | 과거의 허영보다는 현재의 삶을 중시하는 가치관. |
30 | 等他长大了,一定比我们强。 | 얘가 자라면 분명 우리보다 나을 거야. | 자식을 향한 희망과 부모 세대의 기대를 표현. |
31 | 你是不是又做梦了? | 또 꿈 꾼 거야? | 현실과 꿈, 회상의 구분이 모호해질 때 등장. |
32 | 我这辈子啊,算是看透了。 | 내 인생은 말이지, 이제 다 꿰뚫어봤어. | 체념과 통찰이 섞인 노인의 대사. |
33 | 命就是这么回事,谁也躲不过。 | 운명이란 게 그런 거야. 누구도 피할 수 없어. | 숙명론적인 사고를 반영한 대사. |
34 | 你娘走了,可你还得活着。 | 네 엄마는 갔지만, 넌 살아야 해. | 가족을 잃은 아픔 속에서도 삶을 이어가야 함을 강조. |
35 | 咱们家以前热闹,现在清静了,这也是命。 | 예전엔 우리 집 북적였지, 지금은 조용해. 이것도 다 운명이야. | 과거와 현재의 대조, 삶의 무상함을 표현. |
36 | 我们家呀,从前热热闹闹的,现在就剩我们俩了。 | 우리 집은 예전엔 정말 북적였는데, 이제 우리 둘만 남았네. | 反映主人公家庭的变故,表达岁月的流逝和孤独感。 |
37 | 有福啊,咱们又有戏看了。 | 복 받았네, 우리 또 연극 보게 됐잖아. | 文革时期,"看戏"变成政治宣传的一部分,这句话带有一点无奈的幽默感。 |
38 | 我们活着,就是为了孩子。 | 우리가 사는 건, 아이들을 위해서야. | 表达父母对孩子深沉的爱,是整部影片的重要情感支柱之一。 |
39 | 现在和平了,就该好好过日子。 | 이제 평화로우니, 잘 살아야지. | 反映人物历经动荡之后,渴望安稳生活的愿望。 |
40 | 活着真好。 | 살아 있는 게 참 좋아. | 简单却感人至深的台词,道出整部电影的主题和哲理。 |
你看啊,咱们家现在也就是一只小鸡,鸡养大了就变成了鹅,鹅养大了就变成了羊,羊再养大了,就变成了牛啦。 | 比喻句,表示逐步发展的过程。 | 咱们家:我们家;养大:抚养长大。 | 孩子从小学到大学,一步步成长,就像小鸡变成了牛一样。 |
春生,你记着,你还欠我们家一条命呢,你得好好活着。 | “记着”是“记住”的口语形式;“你得”表示必须。 | 欠:欠债;好好:认真地。 | 你得记着这件事,不能忘记。 |
赌债也是债,自古以来没有欠债不还的道理。 | “自古以来”表示从古至今;“没有...的道理”表示不合理。 | 赌债:因赌博产生的债务;道理:理由。 | 无论是谁,欠债就要还,这是自古以来的道理。 |
我当皮影班主的时候,从不跟人张口,这钱,你得自个儿挣。 | “自个儿”是“自己”的口语形式;“张口”表示开口请求。 | 皮影班主:皮影戏团的负责人;挣:赚钱。 | 他从不向人张口,总是靠自个儿努力。 |
我知道你现在不好受,可是不管怎么着,也得熬着,也得受着。 | “不管怎么着”表示无论如何;“熬着”表示坚持下去。 | 熬:忍受困难;受:承受。 | 生活再苦,也得熬着,不能放弃。 |
福贵:人啊,还是得吃饭哪。 | 陈述句,表达基本人性需求。 | 吃饭:指维持生活、生存的基本行为。 | 即使再忙,人还是得吃饭。 |
福贵:咱们也算是把命给还了。 | “也算是”表示某种结果的勉强成立;“把...给...”表示强调处理结果。 | 把命还了:比喻偿还人情债、救命之恩。 | 他帮我一次,我这次也算是把人情还了。 |
福贵:人就得吃苦中苦,才知道甜是什么滋味。 | “得”表示应该、必须;“才”表示条件成立后结果才出现。 | 吃苦中苦:经历极端的苦难;滋味:味道,引申为体验。 | 只有吃过生活的苦,才知道幸福的滋味。 |
家珍:这就是命吧。 | 感叹句,表达对命运的无奈接受。 | 命:命运、人生遭遇。 | 他这么努力却没成功,也许这就是命吧。 |
春生:你还活着,就有希望。 | 条件句,“就”表示结果的必然性。 | 活着:生存着;希望:未来可能变好的期望。 | 人只要还活着,就不能放弃希望。 |
福贵:我福贵这辈子就图个活着。 | “就图个...”表示唯一的目的;“这辈子”强调一生的时间范围。 | 图:图谋、追求(口语化用法);活着:存活下去。 | 她这一生也就图个平安。 |
老人福贵(最后一幕):我儿子叫有庆,是个好孩子。 | 简单句,表达人物内心的怀念与温柔。 | 有庆:人名;好孩子:品德好、令人喜欢的孩子。 | 我小时候的伙伴是个好孩子,总是乐于助人。 |
福贵:咱家是有根的人。 | “是...的人”用于强调身份、特质。 | 有根:有家、有祖先、有传统的归属。 | 我不是没来历的,我是有根的人。 |
家珍:你以前是败家子,现在不一样了。 | “是...,现在不一样了”强调变化。 | 败家子:挥霍家产、不负责任的人。 | 他以前整天打游戏,现在不一样了,会照顾家人了。 |
福贵:咱不赌了,过日子要紧。 | “要紧”表示“重要、关键”;“咱”是亲昵的第一人称复数。 | 赌:赌博;过日子:过正常生活。 | 咱不闹了,好好过日子要紧。 |
家珍:咱们家可不能再出事了。 | “可不能...”加强语气,表示必须避免。 | 出事:发生问题或灾难。 | 孩子考试在即,咱们家可不能再出事了。 |
春生:他们都说你命大。 | “命大”是口语表达,表示命运坚强、不易死。 | 命大:逃过灾难而活着。 | 那次事故你居然没事,真是命大。 |
福贵:从现在开始,我要做个好爹。 | “我要...”表示计划或决心;“做个...”表示角色身份。 | 爹:父亲的口语说法。 | 我不能再逃避责任了,我要做个好丈夫。 |
福贵:人要是没了希望,就跟咸鱼一样了。 | 比喻句:“跟...一样”比喻两个对象。 | 咸鱼:比喻失去目标或斗志的人。 | 一个人没有梦想,跟咸鱼有什么区别?(周星驰常用句) |
📌 学习建议:
- 是...的人
- 要...
- 不能再...了
- 从现在开始...
家珍:要不是为了这家人,我早就走了。 | “要不是...” 表示假设条件,相当于 “如果不是...” | 为了:表示目的;早就:强调早已有这个打算 | 要不是为了你,我早就辞职了。 |
福贵:人啊,活着就是为了活着本身。 | “就是为了...” 表达目的或意义;哲理句式。 | 本身:自身、本体。 | 他学习不是为了成绩,就是为了兴趣本身。 |
有庆:爹,我去给你打水。 | “去 + 给 + 人 + 动作” 是常见服务型句式。 | 打水:汲水、取水;爹:口语里的“父亲”。 | 妈,我去给你拿外套。 |
福贵:你是我唯一的儿子。 | “唯一的...” 用于强调独一无二。 | 儿子:男性子女。 | 她是我唯一的希望。 |
春生:日子还得照过。 | “还得...” 表示“还是要...”;“照+动词”表示“按原样进行”。 | 日子:生活;照过:照常生活。 | 就算再困难,工作还得照做。 |
福贵:我们都得好好活下去。 | “得+动词”表示必须;“好好+动词”表示认真地做某事。 | 活下去:继续活着。 | 不管发生什么,我们得好好面对。 |
家珍:我这一辈子没指望过什么。 | “一辈子”表示一生;“没指望过...”表示对未来从未抱希望。 | 指望:期待、期望。 | 她这一辈子都没指望过嫁个有钱人。 |
福贵:只要你活着,我就踏实了。 | “只要...就...” 条件句结构;“踏实”表示安心、放心。 | 只要:表示条件;踏实:内心安稳。 | 只要家人在,我就放心了。 |
📘 이 표현들 반복해서 써보세요:
- 要不是……,我早就……
- 我这辈子没……
- 只要……,我就……
- ……还得照……
- 得好好……
福贵:咱们就这么一直活着,等有庆回来。 | “就这么 + 동사” : 현재 상태 유지 | 咱们: 우리 / 一直: 계속 / 等: 기다리다 | 咱们就这么坐着,等雨停吧。 |
家珍:你不说我还以为你真死了呢。 | “还以为…” : 실제와 다른 오해 표현 | 以为: ~라고 생각했다 (사실 아님) | 他没来,我还以为他生病了呢。 |
福贵:咱们家现在就剩你我两个了。 | “就剩…” : ~만 남았다 | 剩: 남다 / 两个: 두 사람 | 班上就剩我一个人没交作业了。 |
福贵:要我说啊,有庆就是个孝顺孩子。 | “要我说” : 내 생각엔 / 구어체 표현 | 孝顺: 부모에게 효도하는 | 要我说,他真是个可靠的人。 |
家珍:你别总想着以前的事了。 | “别总想着…” : ~하지 마라 (부정 명령문) | 总: 항상 / 想: 생각하다 / 以前: 과거 | 别总想着失败,要向前看。 |
福贵:我年轻的时候也想过出人头地。 | “出人头地” : 남보다 뛰어나고 성공하다 | 年轻: 젊다 / 想过: 생각한 적 있다 | 他一直想出人头地,努力工作。 |
福贵:可到头来,不还是一场空? | “到头来” : 결국 / “不还是…” : 결국은 ~ 아니냐? | 一场空: 헛수고 / 헛된 결과 | 我努力了那么久,到头来还不是失败。 |
福贵:活着,就这么活着,也是一种盼头。 | “是一种…” : ~의 일종이다 / “盼头” : 기대 | 盼头(pàntou): 희망, 기대 | 每天都有点小盼头,活着才有劲儿。 |
📌 추가로 학습할 수 있는 표현 패턴 정리:
- 还以为…呢 : 실제와 다르게 오해했을 때
- 就剩…了 : 남은 것이 이것뿐일 때
- 要我说… : 구어체에서 의견을 말할 때
- 到头来… : 결국, 마무리에 대해 말할 때
- 活着是一种… : 삶의 의미를 말할 때
📘 예문으로 말하기 훈련 팁:
- 还以为你不来了呢!
- 就剩我们俩了,好冷清。
- 要我说,这电影太感人了。
- 到头来,家人才是最重要的。
- 活着是一种责任。
家珍:你再这样下去,会把身子弄坏的。 | “再这样下去…” : 이런 식으로 계속하면… | 身子: 몸 / 弄坏: 망가뜨리다 | 你再这样吃下去,身体会出问题的。 |
福贵:我不想让你一个人受苦。 | “不想让 + 대상 + 동사” : ~하게 하고 싶지 않다 | 受苦: 고생하다, 고통을 겪다 | 我不想让爸妈担心。 |
有庆:爸,我不想学那个。 | “我不想 + 동사” : ~하고 싶지 않다 | 学: 배우다 / 那个: 그거(회피 표현) | 我不想再考试了。 |
福贵:你妈心疼你。 | “心疼” : 아끼다, 가슴 아파하다 | 心疼: 걱정하거나 애틋해하는 마음 | 她真心疼她的孩子。 |
家珍:你能不能多陪陪有庆? | “能不能 + 동사?” : ~할 수 있겠니? (부드러운 요청) | 陪陪: 좀 같이 있어주다 | 你能不能早点回来陪我? |
福贵:这不是咱们要的日子。 | “这不是 + 대상 + 要的…” : 우리가 원하는 ~가 아니다 | 日子: 삶, 나날 | 这不是我想要的生活。 |
家珍:只要一家人在一起,别的都不重要。 | “只要…, 就…” : ~하기만 하면, ~하다 | 一家人: 한 가족 / 不重要: 중요하지 않다 | 只要你平安回来,别的都不重要。 |
福贵:有庆走了以后,我总是梦见他。 | “总是 + 동사” : 자주, 늘 ~하다 | 梦见: 꿈에 보다 | 她去世后,我总是梦见她。 |
📌 복습용 주요 구문 정리:
再这样下去 | 이런 식으로 계속하면 | 你再这样玩手机,眼睛要坏了。 |
不想让 + 사람 + 동사 | ~하게 하고 싶지 않다 | 我不想让你一个人走。 |
能不能 + 동사 | ~할 수 있니? (부드러운 요청) | 你能不能帮我一下? |
这不是…要的… | 원하는 것이 아니다 | 这不是我梦想的工作。 |
总是 + 동사 | 자주, 항상 ~하다 | 我总是想起那天的事。 |
✅ 학습 팁:
- “梦见” 은 실제로 자주 회화에서 쓰입니다:
예) 我昨晚梦见你了。 - “心疼” 은 단순히 ‘아프다’가 아니라, 마음 아프게 아끼는 감정입니다.
福贵:我也不是不想去医院。 | “也不是不…” → 이중 부정 (완곡한 표현) | 去医院: 병원에 가다 | 我也不是不想帮你,只是我也很忙。 |
家珍:人家已经够可怜了。 | “已经够 + 형용사 + 了” → 이미 충분히 ~하다 | 可怜: 불쌍하다 | 他已经够累了,你就别再说他了。 |
福贵:我这辈子就剩你们娘俩了。 | “就剩…” → ~만 남았다 | 这辈子: 이번 생 / 娘俩: 엄마와 딸 | 我现在就剩这点钱了。 |
家珍:以前的事就让它过去吧。 | “就让…吧” → ~하도록 하자 (포기, 타협, 수용 표현) | 过去: 지나가다 | 失败了就让它过去吧,别再想了。 |
有庆:爸,你答应过妈妈的。 | “答应过…” → ~하기로 약속했다 | 答应: 약속하다 / ~过: 과거 경험 | 你答应过我,要陪我去旅行的。 |
福贵:你妈说得对。 | “说得对” → 말이 맞다 | - | 老师说得对,我们要好好学习。 |
福贵:我活着不是为了受这个罪。 | “不是为了…” → ~하려고 하는 게 아니다 | 受罪: 고생하다 | 我不是为了钱才工作的。 |
家珍:咱们不跟他们一般见识。 | “不跟…一般见识” → 상대방과 같은 수준으로 싸우지 않다, 상대하지 않다 | 一般见识: 다툼에 휘말리다 | 他无理取闹,我们别跟他一般见识。 |
📌 문법 요약:
也不是不 + 동사 | 안 하는 건 아니지만… | 我也不是不喜欢他,就是不太了解。 |
就剩 + 명사 | ~만 남았다 | 就剩你一个人了。 |
就让 + 목적어 + 동사 + 吧 | ~하도록 하자 (체념/타협) | 就让他走吧。 |
答应过 + 대상 | ~에게 약속했다 | 她答应过我,不离开我。 |
不跟 + 대상 + 一般见识 | ~와 다투지 않다, 같은 수준으로 안 본다 | 小事一桩,不值得一般见识。 |
📚 중요 어휘 복습:
- 可怜 [kělián]: 불쌍하다
例)这个孩子真可怜。 - 这辈子 [zhè bèizi]: 이번 생, 평생
例)这辈子我就想过简单的生活。 - 受罪 [shòuzuì]: 고통을 겪다
例)他在外地打工受了不少罪。 - 一般见识 [yìbān jiànshi]: 사소한 일로 싸움에 휘말리다
例)咱们别跟无赖一般见识。
福贵:人死了还能活过来吗? | “还能…吗?” → 가능성 반문 (설명 요구 or 체념) | 活过来: 다시 살아나다 | 钱丢了还能找回来吗? |
福贵:咱们得活着,得过日子。 | “得…” → 반드시 ~해야 한다 (구어적 의무 표현) | 活着: 살아 있다 / 过日子: 살아가다 | 咱们得省钱过日子。 |
家珍:就剩咱娘儿俩了。 | “就剩…” → ~만 남았다 | 娘儿俩: 엄마와 딸 (or 엄마와 자식) | 战争以后就剩我一个人了。 |
福贵:这都是命。 | “都是…” → 모두 ~이다 (일괄 강조) | 命: 운명 | 他走得那么突然,这都是命啊。 |
福贵:活着就是希望。 | A就是B → 정의 표현 / 강조 | 希望: 희망 | 孩子就是我们的未来。 |
福贵:有庆,爸来看你了。 | “来看 + 사람” → ~를 찾아오다 | 看: 여기서는 “찾다, 방문하다” 의미 | 妈来看你了,你还好吗? |
📌 문법 요약:
还能…吗? | 아직도 ~할 수 있나? (반문/체념) | 他都走了,你还能怎么样? |
得 + 동사 | ~해야 한다 (강한 의무) | 我得早点儿起床。 |
就剩 + 명사 | ~만 남았다 | 就剩我们两个人了。 |
A就是B | A가 곧 B다 (정의, 강조) | 生活就是一种修行。 |
来看 + 사람 | ~를 보러 오다 | 她来北京看我了。 |
📚 중요 어휘 정리:
活过来 [huó guòlai] | 다시 살아나다 | 他病得很重,幸好活过来了。 |
过日子 [guò rìzi] | 살림을 꾸리다, 살다 | 他们在农村过日子。 |
命 [mìng] | 운명 | 有的人命好,有的人命苦。 |
希望 [xīwàng] | 희망 | 孩子是我们的希望。 |
🧠 문화 포인트
중국어에서 "命"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생명을 의미하기보다, 운명이나 숙명의 뜻으로 자주 쓰이며, 체념 혹은 인생의 무상함을 표현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活着》는 바로 이런 "命"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 영화이기도 합니다.
🎬 《活着》 대사 확장 학습
福贵:娃儿,听话,快去吧! | 동사 + 보어 “吧” → 명령, 권유 | 听话: 말을 잘 듣다 / 快去吧: 얼른 가렴 | 宝宝,乖,听话,睡觉吧! |
福贵:咱家有庆死了。 | 명사 + 死了 → 죽음을 직접 표현 (강한 감정 포함) | 咱家: 우리 집 / 有庆: 아들 이름 | 我家狗死了,孩子哭了一晚上。 |
家珍:你不想活了是不是? | “是不是” → 감정 섞인 확인/비난 | 不想活: 살기 싫다 | 你疯了是不是? |
福贵:都是我害了他。 | “都是我…” → 자책 표현 | 害了: 해치다, 망치다 | 都是我说错话了,别怪他。 |
家珍:你哭吧,哭出来就好了。 | 동사 + 보어 “出来” → 감정의 분출 | 哭出来: 울어내다 | 有什么委屈就说出来。 |
福贵:你别跟我讲什么大道理! | “别 + 동사” → 금지 / 반항 | 大道理: 대의명분, 옳은 말 | 别跟我装聪明。 |
📌 문법 포인트 요약
동사 + 吧 | ~해라 (권유/명령) | 别哭了,回去吧。 |
명사 + 死了 | ~가 죽었다 (직설적 표현) | 他爷爷死了。 |
是不是? | ~아니야? (확인, 비난) | 你是不是疯了? |
都是我… | ~는 전적으로 내 탓이다 | 都是我不小心,害你摔倒了。 |
동사 + 出来 | 감정이나 의도를 밖으로 드러냄 | 笑出来 / 哭出来 |
别 + 동사 | ~하지 마라 (금지) | 别吵了,我头疼。 |
📚 어휘 정리
听话 [tīnghuà] | 말을 잘 듣다 | 她是个很听话的孩子。 |
害了 [hàile] | 해치다, 망치다 | 是我害了你,对不起。 |
哭出来 [kū chūlai] | 울어내다 | 哭出来会舒服一点。 |
大道理 [dàdàolǐ] | 원론적인 옳은 말, 대의명분 | 他说了一堆大道理,我听不进去。 |
💬 감정 표현에 유용한 표현
不想活了 | 살고 싶지 않다 | 他绝望到不想活了。 |
你疯了是不是? | 미쳤어? | 你疯了是不是?敢跟老师吵架! |
哭出来就好了 | 울면 좀 나아질 거야 | 有时候哭出来就会舒服点。 |
别跟我讲道理 | 내게 이성적인 말 하지 마 | 我现在很烦,别跟我讲道理。 |
🎬 《活着》 영화 학습 시리즈 – 다음 구성 안내
✅ 1. 文化大革命 당시 표현 어휘 정리
- 핵심 시기: 1966~1976년 문화대혁명 중 사용된 단어 및 표현
- 테마: 권력, 혁명, 선동, 탄압
- 예: 红卫兵、打倒、牛鬼蛇神、被批斗、革命群众 등
✅ 2. 클라이맥스/마지막 장면 분석
- 장면: 福贵과 家珍이 함께 늙고, “活着就是为了等下一顿饭” 대사 등장
- 분석 항목:
- 감정 표현 문법
- 생존·체념 표현
- 실존적 철학 해석 (중국어+한중 대조)
✅ 3. 전체 영화 주제어 정리 + 키 문법 총정리
- 키워드: 生存、死亡、命运、家庭、时代、苦难、希望
- 문법 요약:
- 被字구문
- 동사 중첩 (走走、想想)
- 동태조사 了, 过, 着
- 결과 보어, 방향 보어 정리 등
📚 文化大革命 핵심 어휘 & 표현 정리
红卫兵 | hóng wèi bīng | 홍위병 | 他被红卫兵批斗了三次。 |
打倒 | dǎ dǎo | 타도하다 | “打倒走资派!”是当时的口号。 |
牛鬼蛇神 | niú guǐ shé shén | 소귀신·뱀귀신 (지식인, 자본가 등 반혁명 세력 비유) | 他被当成牛鬼蛇神批斗。 |
批斗 | pī dòu | 비판투쟁 | 那时候知识分子经常被批斗。 |
革命群众 | gé mìng qún zhòng | 혁명 군중 | 革命群众走上街头,举行游行。 |
斗争大会 | dòu zhēng dà huì | 투쟁 대회 (비판 집회) | 他在斗争大会上低头认错。 |
毛主席语录 | Máo zhǔ xí yǔ lù | 마오쩌둥 어록 | 人人手里都有一本毛主席语录。 |
四旧 | sì jiù | 4구(구사상, 구문화, 구풍속, 구습관) | 要破四旧,立四新。 |
被打成... | bèi dǎ chéng | ~로 몰리다, 낙인찍히다 | 他被打成“反革命分子”。 |
🎯 활용 포인트
被 + 동사 | 수동 표현 (피해자 강조) | 他被红卫兵打了一顿。 |
打成 + 신분 | 부정적 신분으로 낙인 | 她被打成“资产阶级反动学术权威”。 |
~群众 | 대중적 정체성 강조 | 工人群众 / 农民群众 |
~大会 | 공식적인 대중 모임 명칭 | 批斗大会 / 动员大会 |
🎬 [2] 《活着》 마지막 장면 – 감정 표현 & 철학적 해석
📌 주요 장면 요약
영화 말미, 福贵(푸구이)는 살아남은 가족들과 조용히 밥을 먹으며 말합니다:
「人是为了活着本身而活着的,不是为了活着之外的任何事物而活着。」
“사람은 그저 살기 위해 살아가는 것이지, 살아가는 것 외의 무언가를 위해 사는 게 아니야.”
🔍 핵심 문장 분석
문장 1:
人是为了活着本身而活着的。
rén shì wèi le huó zhe běn shēn ér huó zhe de
→ 사람은 그저 ‘살아있는 것 그 자체’를 위해 살아간다.
为了 + 목적 | ~을 위해서 |
活着 | 살아있다 (동사 '活'의 진행형) |
本身 | 그 자체 |
而 | ~하고, ~하면서 (접속사) |
活着的 | 앞 문장 전체를 다시 강조한 말 |
📘 예문:
- 我们是为了家人而努力工作的。
(우리는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것이다.) - 他不再为了名利而生活。
(그는 더 이상 명예나 이익을 위해 살지 않는다.)
문장 2:
不是为了活着之外的任何事物而活着。
bú shì wèi le huó zhe zhī wài de rènhé shì wù ér huó zhe
→ 살아 있는 것 이외의 그 어떤 것을 위해 사는 게 아니다.
不是为了...而... | ~를 위해 ~하는 것이 아니다 |
活着之外的 | 살아 있는 것 이외의 |
任何事物 | 어떤 것이든, 그 무엇이든 |
📘 예문:
- 他不是为了钱而生活的,而是为了理想。
(그는 돈을 위해 사는 게 아니라, 이상을 위해 산다.) - 我不是为了你,而是为了我自己。
(나는 너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서야.)
💬 감정 표현 어휘
无奈 | wú nài | 어쩔 수 없음, 체념 |
苦难 | kǔ nàn | 고난 |
坚持 | jiān chí | 버티다, 견디다 |
渴望 | kě wàng | 간절히 바라다 |
平凡 | píng fán | 평범하다 |
幸福 | xìng fú | 행복 |
📘 응용 예문:
- 他在苦难中坚持活下去。
(그는 고난 속에서도 끝까지 살아남았다.) - 平凡的生活也有属于它的幸福。
(평범한 삶도 나름의 행복이 있다.)
✨ 철학적 주제 확장
《活着》는 고난 속의 생존, 시대의 폭력, 그리고 인간의 존엄과 체념을 말합니다.
마지막 대사는 ‘존재 그 자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로 읽히며, **실존주의(existentialism)**와도 연결됩니다.
📘 철학적 표현:
- 活着就是一种意义。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 의미가 있다.) - 即使再苦,也要活下去。
(아무리 괴로워도 살아가야 한다.)
🧭 [3] 《活着》 핵심 주제어 + 문법 총정리
📌 1. 주제어 Vocabulary
活着 | huó zhe | 살아 있다 | 活着真不容易。(사는 게 정말 쉽지 않다.) |
命运 | mìng yùn | 운명 | 我无法改变命运。 |
苦难 | kǔ nàn | 고난 | 苦难让他变得坚强。 |
家庭 | jiā tíng | 가족 | 家庭是他活下去的理由。 |
死亡 | sǐ wáng | 죽음 | 他经历了太多亲人的死亡。 |
希望 | xī wàng | 희망 | 只要活着,就还有希望。 |
忍耐 | rěn nài | 인내, 참음 | 他默默地忍耐着一切痛苦。 |
时代 | shí dài | 시대 | 他们被时代碾压。(그들은 시대에 짓눌렸다.) |
命 | mìng | 목숨, 생명 | 命比什么都重要。 |
📌 2. 자주 쓰이는 문법 구조
(1) 只要……就……
- ~하기만 하면 곧 ~하다 / ~이면 ~이다
- 예문:
- 只要你还活着,就有希望。
(네가 살아 있기만 하면 희망은 있어.)
- 只要你还活着,就有希望。
(2) 即使……也……
- 설사 ~일지라도 ~하다
- 예문:
- 即使一个人活着,也要坚强。
(혼자 살더라도 강하게 살아야 해.)
- 即使一个人活着,也要坚强。
(3) 为了……而……
- ~를 위해 ~하다
- 예문:
- 为了家人而活着。
(가족을 위해 살아간다.)
- 为了家人而活着。
(4) 被……所……
- ~에 의해 ~되다 (피동 강조)
- 예문:
- 他被命运所捉弄。
(그는 운명에 의해 농락당했다.)
- 他被命运所捉弄。
(5) 就算……也……
- 설령 ~일지라도 ~하다
- 예문:
- 就算什么都没有,也要活下去。
(아무것도 없어도 살아가야 해.)
- 就算什么都没有,也要活下去。
📌 3. 감정 서술 패턴
他感到很无助。 | 무력감을 느끼다 | 在那个年代,他感到很无助。 |
他内心充满痛苦。 | 마음속에 고통이 가득하다 | 他失去了所有亲人,内心充满痛苦。 |
他忍住了眼泪。 | 눈물을 참다 | 面对现实,他忍住了眼泪。 |
📘 추천 표현 암기 팁
- “活着” = 동사형 생존 + 명사형 인생 철학 (예: 活着是一种勇气。)
- **“命运”**과 **“苦难”**은 자주 같이 등장 (예: 命运总是伴随着苦难。)
- **“只要……就……”**와 **“即使……也……”**는 감정의 흐름을 강조하는 데 아주 좋음
🎧 《活着》 쉐도잉 연습용 스크립트 (Part 1)
🎙️ 장면: 가족을 잃은 후, 스스로에게 말하는 독백
1.
活着不是为了痛苦,
而是为了还活着的人。
Huózhe bú shì wèile tòngkǔ,
ér shì wèile hái huózhe de rén.
사는 건 고통 때문이 아니라,
아직 살아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야.
2.
只要我还活着,
我就不能倒下。
Zhǐyào wǒ hái huózhe,
wǒ jiù bùnéng dǎoxià.
내가 살아 있는 한,
쓰러질 수는 없어.
3.
命运对我太残忍,
可我不能被它打败。
Mìngyùn duì wǒ tài cánrěn,
kě wǒ bùnéng bèi tā dǎbài.
운명은 나에게 너무 잔인했지만,
그것에 지면 안 돼.
4.
人活一口气,
哪怕再苦,也要挺住。
Rén huó yī kǒuqì,
nǎpà zài kǔ, yě yào tǐng zhù.
사람은 숨 한 번으로 버티는 거야.
아무리 괴로워도 견뎌야지.
5.
活着的人要比死去的人更坚强。
Huózhe de rén yào bǐ sǐqù de rén gèng jiānqiáng.
살아 있는 사람은
떠난 사람보다 더 강해져야 해.
📝 연습 팁
- ① 먼저 한 문장씩 듣고 따라 말하기 (쉐도잉 기본)
- ② 다음에는 자막 없이 듣고 말하기
- ③ 감정을 담아 말해보기 (감정 연기처럼!)
- ④ 마지막으로, 스스로 말해보기 (기억 기반 표현 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