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주유광(周有光), 한어병음의 아버지

Poohsi&Company 2025. 6. 2. 16:36

 

주유광(周有光, Zhōu Yǒuguāng, 1906년 1월 13일 ~ 2017년 1월 14일)은 중국의 경제학자이자 언어학자이다.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채택된 한어 병음의 수립과 보급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쑤성 창저우 출신이다. 1923년 상하이 성 요한 대학에 입학했지만 1925년 5·30 사건에 대한 학교 측의 조치에 분노한 교사들이 집단으로 성 요한 대학을 떠나면서 광화 대학(光華大學)을 창립했다. 저우유광 또한 광화 대학으로 옮겼고 1927년 광화 대학을 졸업했다. 1933년에는 장윈허(張允和, 1909년 ~ 2002년)와 결혼했으며 같은 해에 일본 유학 생활을 시작했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였던 가와카미 하지메로부터 경제학을 배우려고 했지만 가와카미 하지메가 검거되면서 성사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도쿄 대학에 재학했다가 나중에 교토 대학으로 옮겼지만 1935년 유학 생활을 중단하고 귀국했으며 광화 대학에서 경제학을 가르쳤다. 중일 전쟁 시기에는 산간 오지로 피신해서 신화 은행(新華銀行)에서 근무했다. 전쟁 이후에는 유럽의 여러 나라와 홍콩에 체류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상하이 푸단 대학과 상하이 재경 학원(財經學院)에서 경제학 교수로 근무했으며 중국어 문자 개혁에 관한 저작물을 발표했다. 이러한 경력으로 인해 1954년에는 문자 개혁 위원회(文字改革委員會)에 초청되었다. 위원회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1955년에는 대학 교수를 그만두고 베이징으로 이주했다. 또한 경제학을 포기하고 문자 개혁 전문가로 활동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학술에 관한 반동주의적인 권위"라는 비판을 받고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우치(五七) 간부 학교로 이송되었지만 1971년에 석방되었다. 문화 대혁명 이후에 문자 개혁에 관한 저작 활동을 재개했다. 1979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국제 표준화 기구(ISO) 회의에서 한어 병음에 관한 국제 표준을 제안했으며 1982년에는 한어 병음에 관한 국제 표준인 ISO 7098이 채택되었다. 1980년대에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중국어 번역 위원, 중국대백과전서 사회과학 부문 총편집위원을 역임했다. 1985년 문자 개혁 위원회가 국가 언어 문자 공작 위원회(國家言語文字工作委員會)라는 이름으로 변경된 이후에도 위원으로 남아 있었지만 1989년에 퇴직했다. 2006년 100세 생일을 맞이한 뒤에도 저작 활동을 계속했으며 2017년 1월 14일 향년 111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1. 한어병음 각 음절 설명

한어병음(汉语拼音)은 중국어 표준어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체계로, 음절 단위로 초성, 운모(중성 + 종성), 성조로 나뉩니다.

  • 초성 (声母, shēngmǔ)
    자음으로, 음절의 첫 소리
    예) b, p, m, f, d, t, n, l, g, k, h, j, q, x, zh, ch, sh, r, z, c, s
  • 운모 (韵母, yùnmǔ)
    모음 또는 모음+자음 결합 부분 (중성+종성)
    • 중성: a, o, e, i, u, ü
    • 종성: n, ng, r(특유의 儿化音, ‘얼’ 소리)
  • 성조 (声调, shēngdiào)
    4가지 성조와 경성(경사 소리)
    • 1성: 높은 평음 (ā)
    • 2성: 상승조 (á)
    • 3성: 하강 후 상승조 (ǎ)
    • 4성: 하강조 (à)
    • 경성(轻声): 짧고 약한 소리, 표기 없음
  • 특징
    • 모든 음절은 ‘초성+운모+성조’ 구조로 분석 가능
    • 성조 표시가 필수, 발음의 의미 구분에 결정적 역할
    • ‘ü’는 입술 모양 둥글게 하고 ‘i’ 소리 나는 독특한 모음
    • 儿化音(얼화음)은 종성 ‘r’ 추가로 표기 (예: 花儿 huār)

2. 문화대혁명 시기 중국 내 언어 정책 변화

  • 언어 정책의 정치화
    문화대혁명 기간(1966~1976)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따라 언어 정책도 변동
    • ‘资产阶级’(부르주아) 언어와 ‘反动语言’(반동언어) 단속 강화
    • 특정 어휘가 ‘资本主义’ 색채로 낙인찍혀 사용 금지
    • 언어 학자, 교육자 등 지식인 탄압받으며 언어 연구 위축
  • 한어병음과 문자개혁
    • 한어병음은 이미 공식 표준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홍위병 등 급진 세력의 혼란 속에서 교육 현장에서는 실제 보급 차질
    • 한자 간소화 정책은 지속되었으나, 문자 개혁위원회의 연구 활동은 중단 또는 제한
    • 언어의 정치적 통제 강화로 인해 언어 사용과 교육에 검열 강화
  • 언어 사용과 대중매체
    • 대중매체와 선전에서 ‘毛泽东语录’(마오어록) 중심 언어 사용 권장
    • 지역 방언과 전통어휘는 일시적 탄압 대상
    • 일부 혁명용어와 구호가 언어 생활에 깊숙이 침투
  • 결과
    언어 연구와 교육은 큰 타격을 입었으나, 문자 표준화 사업은 결국 유지되었고, 1970년대 말 개혁개방 이후 다시 활성화됨.

3. 주유광(周有光) 주요 저서와 강연 내용

  • 주요 저서
    • 《汉语拼音方案释义》(1958)
      한어병음 방안 해설서로, 표기법의 원리와 실제 적용을 자세히 설명
    • 《语言文字改革史论》(Language and Script Reform History and Theory)
      중국 문자개혁의 역사적 흐름과 이론적 근거를 다룸
    • 《中国语言文字改革回忆录》(Memoirs on Chinese Language and Script Reform)
      자신의 언어 개혁 경험과 정책 참여 기록, 당시 사회적 배경 포함
    • 《周有光文集》(Collected Works of Zhou Youguang)
      언어학, 경제학, 사회학적 글을 포괄하는 그의 저작 모음집
  • 대표 강연 및 인터뷰
    • “汉语拼音与现代中国” (한어병음과 현대 중국)
      → 한어병음이 중국 사회와 교육에 끼친 영향 및 미래 발전 전망
    • “语言与社会责任” (언어와 사회적 책임)
      → 지식인의 사회적 역할과 언어의 정치적 의미 강조
    • “文化大革命中的语言学” (문화대혁명 시기의 언어학)
      → 개인 경험과 언어 정책 변화에 대한 회고
    • 고령에도 중국과 세계 언어 발전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견 개진, AI 시대 중국어 변이에도 관심 표명